Evolutionary Perspectives on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the Footwear Industry in Korea

한국 신발산업의 진화 동태성과 쇠퇴 요인

  • 김성주 (부산은행 경제연구소) ;
  • 임정덕 (부산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
  • 이종호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the Korea's footwear industry by adopting evolutionary perspectives. To explain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an industry, evolutionary perspectives have paid a particular attention to exploring a variety of factors for influencing the evolution of the industry, such as the selection and imitation of the firm, the mechanism of firm's entry and exit,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novation processes. The majority of existing research tend to explain that the decline of the Korea's footwear industry since 1990 was mostly due to the rapid rising of wage and the structural changes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On the contrary,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decline of the Korea's footwear industry, in terms of the path of selection and imitation, the dominant technological paradigm, regulatory frameworks and the meso trajectory of industry evolut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ecline of the Korea's footwear industry since 1990 was appeared as a result of the evolutionary selection processes of the firms in order to adapt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competition and the regime of market selection in the global footwear industry.

본 연구의 목적은 진화경제학적 관점으로 한국 신발산업의 진화적 발전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산업의 변화를 연구함에 있어 진화론적 관점은 기업의 선택과 모방, 진입과 퇴출, 기술적 특성과 혁신과정 등 산업의 발전경로에 관한 복잡한 요인들이 어떻게 생성되고 지속되며 공진화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 신발산업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한국 신발산업의 쇠퇴 요인을 임금 상승과 노동집약적 산업의 환경 변화의 측면에서 찾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신발산업의 쇠퇴 요인을 국내 기업의 전략적 선택과 모방의 경로, 지배적 기술 패러다임,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제도적 규제의 문제, 그리고 글로벌생산체제로 변화하는 메조 궤적의 진화적 발전경로의 측면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신발산업은 스포츠화, 특히 혁제운동화의 제조기술에 대한 학습과정과 OEM 주문생산에 기초하여 성장했으며, 한국 신발산업의 사양화는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경쟁조건과 시장선택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기업의 진화적 선택과정에 따른 결과임을 강조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