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안티몬폐기물에 의한 수질화학적 오염 사례연구

Case Study of Hydrochemical Contamination by Antimony Waste Disposal in Korea

  • 정찬호 (대전대학교 지반설계정보공학과)
  • Jeong, Chan-Ho (Department of Geotechnical Design Engineering, Daejeon University)
  • 발행 : 2008.12.30

초록

이 연구는 충남 연기군 원성리에 소재하고 있는 안티몬공장에서 산업폐기물로 발생된 안티몬 폐기물을 매립지의 토양수, 인접하천수, 인근마을 지하수에서 안티몬을 포함한 일부 중금속에 의한 오염특성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하지만 현재 매립지는 수년전에 폐기물은 수거하여 다른 지역으로 옮긴 후 복토된 상태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조사지역에서 지하수, 하천수, 토양수 총 35점을 채취하였고 대조마을에서 2점의 지하수를 채취하였다. 연구결과 매립지 농지의 토양수에는 안티몬의 농도가 대조마을 지하수보다 훨씬 높은 $48.75{\sim}74.81\;ppb$의 범위를 보여, 이는 주요 선진국 음용수 수질 기준치를 최고 수 십 배 상회한다. 매립지와 접한 하천수 3지점, 마을지하수의 1곳, 안티몬공장내 지하수 1점에서도 안티몬의 농도가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다. 철, 망간 등의 중금속이 토양수 및 하천수에서 최고 6.5 ppm, 7.3 ppm으로 매우 높은 값을 보인다. 그러나 그 외 중금속은 일부 토양수, 하천수, 지하수에서 대조마을 지하수보다 높은 값을 보이지만 수질기준치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같을 보인다. 모든 물 시료의 화학적 유형은 Ca-$HCO_3$ 유형에서 Ca-($Cl+SO_4+NO_3$) 유형까지 넓게 분포한다. 토양수가 Ca - $SO_4$의 유형을 보이는 것은 안티몬이 매립되었던 폐기물의 환산화물의 함유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지하수는 칼륨과 질산염 성분의 높은 값을 보여 비료와 생활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폐기물을 매립지의 복토층 아래 토양내 아직도 상당량 안티몬 등 중금속이 존재하며, 이들이 인근 하천 및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농작물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재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안티몬 폐기물에 의한 수질오염사례에 대한 최초의 연구결과로 환경부에서도 국가적 수질관리 차원에서 안티몬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water, soil water and groundwater around and in antimony waste landfill site in Wonsung-ri, Yeonki-kun, Chungnam. The waste disposed in the study was excavated and transported to the other site in several years ago. For this study, we collected 35 water samples including groundwater, soil water and surface in the study site and also collected 2 groundwater samples from a comparison site. The data of chemical analysis of soil water samples show the antimony concentration of $48.75{\sim}74.81\;ppb$, which is much higher than groundwater in a comparison site and is highly excess than regulation level for a drinking water of some advanced countries. A relatively high antimony concentration was detected in three stream water samples nearby landfill site and two groundwater samples. Fe and Mn contents in soil water and stream water were measured as maxium 6.5 mg/L and 7.3 mg/L, respectively. Although other heavy metals of water samples in the study site are higher concentration than water sample of comparison site, their absolute levels are lower than regulation level for a drinking water. The chemical data of water samples are plotted widely from Ca - $HCO_3$ type to Ca - ($Cl +SO_4+NO_3$) type. Some groundwater show high contents of potassium and nitrate, which would come from fertilizer and sewage. Conclusively, some heavy metals including antimony have been still remained under the soil surface of the landfill site in the past. These metals have leaked out into nearby stream and groundwater system, and threaten the ecology, crops and the health of residents in this site. Therefore, the government have to prepare the strategy to prevent the diffusion of heavy metals into aquatic environment and have to process the reclamation work for contaminated site.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a regulation level of the antimony concentration for a drinking water and soil environment in Korea.

키워드

참고문헌

  1. 임연풍, 1996, 의학환경지구화학, 한국학술진흥재단번역 총서 201, 434p
  2. 정찬호, 김수진, 2002, 벤토나이트의 중금속 흡착에 대한 통계모델의 적용 및 열역 학적 해석, 지질공학회지, 12(2), 203-214
  3. 정찬호, 정기영, 2000, 벤토나이트의 중금속 흡착제거에 대한 pH와 지하수 음이온 의 영향, 자원환경지질학 회지, 33(1), 31-40
  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한국지구화학지도책(1:700,000), 제3집, 충청남도 지구 화학지도책, 79p
  5. Merian, E. 1991, Metals and their compounds ion the environment, occurrence, analysis and biological relevance, VCH Verlagsgesellschaft, Weinheim, Germany, 1438p
  6. Piper, A. M., 199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analyses.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 Union, 29, 413-421
  7. Reimann, C. and Caritat, P. de, 1998, Chemical elements in environment: Spring-Verlag, 39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