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ervice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 Published : 2008.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ervice education program on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 analyzing domestic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consisted of 3 fields - understanding, experiencing multifunctionality, and applying it to classroom,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3 experts.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268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the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questions were about motivation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level of program, and so on.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교육청, 2008, 2008 특수분야 연수기관 지정지침, 2
  2. 교육과학기술부. 2007, 2008년도 교원연수 운영 기본계획, 1
  3. 강신영, 황해익, 2005,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컴퓨터교육 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유아교육 연구, 25(6), 87-110
  4. 김수동, 박순경, 유승연, 권재기,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1
  5. 나승일, 서우석, 2000, 초.중.고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농업관련교과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2(1), 27-52
  6. 마상진, 2008, 미국의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세계농업정보, 1-7
  7. 방기혁, 2004, 초.중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의 발전방향,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5(1), 15-32
  8. 서우석, 정철영, 이재호, 2006,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195-221
  9. 송호열, 2003, 수요자 중심의 지리과 교사 자격연수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37(3), 191-211
  10. 여성희, 강순자, 심규철, 2003, 중등과학교사 교원연수 실태 및 인식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4), 339-346
  11. 오세익, 김수석, 강창용, 2001, 농업의 다원적 기능의 가치평가 연구, 서울, 농촌경제연구원, 1
  12. 이재옥, 1999, 농업의 다원적 기능, 농촌경제, 22(2), 39-51
  13. 이종기, 문수연, 박경화, 안병준, 2007, 첨단 과학기술 지향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 생물 분야의 BT, BIT, NBT를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3), 425-451
  14. 조덕주, 김수동, 진경애, 박정, 1999, 교육과정.평가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15. 최승현, 김수동, 오은순, 이윤, 주유나, 2004, 교실수업 지원을 위한 off-line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0
  16. 최유현, 이병욱, 문대영, 이한규, 류병구, 강경균, 2007, 발명교육 담당 교사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교육요구 분석 : 발명특허특성화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256-282
  17. 한영진, 2004, 부자자효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8
  18. Birkenholz, R. H, 1993, Pilot Study of Agricultural Literacy : Final Report, Missouri Univ., 6
  19. Leising, J. G, Pense, S. L, Portillo, M. T. 2003, The Impact of Selected Agriculture in the Classroom Teachers On Student Agricultural Literacy, Cooperative State Research, Education, and Extens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1
  20. 20. O'Sullivan, M. C., 2002, Action research and the transfer of reflective approaches to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INSET) for unqualified and underqualified primary teachers in Namibi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8(5), 523-539 https://doi.org/10.1016/S0742-051X(02)000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