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Silicate on Creeping Bentgrass Growth of Green at the Golf Course during Summer in Korea

규산염의 시비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여름철 생육에 미치는 영향

  • Lee, Jae-Pil (Dept. of Life and Industry,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Yoo, Tae-Young (Tae-Yang Bio.) ;
  • Moon, Se-Jong (Dept. of Life and Industry, Graduate School of Agriculture and Anim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Ham, Suon-Kyu (Turfgrass Research Institute, AMENC Co. Ltd) ;
  • Kim, Doo-Hwan (Dept. of Molecular Biotechnology, Konkuk University)
  • 이재필 (건국대 농축대학원 생명산업학과) ;
  • 유태영 (태양바이오) ;
  • 문세종 (건국대 농축대학원 생명산업학과) ;
  • 함선규 (에이엠잔디연구소) ;
  • 김두환 (건국대 생명환경과학대학 분자생명공학)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ilicate as growth stimulator on growth of 'Pencrosss' creeping bentgrass.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cv. 'Pencross') at the nursery of Sinwon Country Club was used. Silicate was applied at the concentration of 0, $200{\times}$, $500{\times}$, $1.000{\times}$. Polt size was 1 by 2 meter and there were three replications with completely randomized design(CRD). Creeping bentgrass growth was evaluated with visual turf grass quality, root length and No. of tiller density(ea/$cm^2$).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Average root length with silicate was $1.5{\sim}1.9cm$ longer than control. Especially, Root length of silicate was $7{\sim}8cm$ in summer. 2. Tiller density with silicate was $l8{\sim}22ea/cm^2$, $0.4{\sim}2.l$ less than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3. Visual turfgrass quality with silicate was $5.0{\sim}8.3$, $0.3{\sim}1.5$ higher than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silicate might be grown as root growth stimulator of creeping bentgrass during summer in Korea.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one year. Accordingly, in-depth experiment should be done over several years.

본 실험은 규산염(HF) 처리가 골프장 그린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경기도 용인시 소재 신원컨트리클럽 증식포장에서 2007년 5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수행하였다. 잔디품종은 크리핑 벤트그래스 '펜크로스'이며, 처리내용은 대조구, 규산염(HF) 200배(추천량의 2.5배), 500배(추천량) 및 1,000배(추천량의 0.5배)로 처리하였다. 실험구의 배치는 완전임의배치 법으로 3반복하였으며 뿌리길이, 잔디 분얼경 밀도 및 잔디품질을 각각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뿌리길이는 규산염(HF)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평균 $1.5{\sim}1.9cm$ 길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특히 잔디생육 불량기인 7월 6일에서 8월 17일의 조사에서는 규산염(HF) 처리구의 뿌리길이는 평균 $7{\sim}8cm$로 대조구 보다 약 2.3cm 더 길었다. 2. 잔디 분얼경 밀도(개/$cm^2$)는 규산염(HF) 처리구가 $18{\sim}22$개로 대조구보다 $0.4{\sim}2.1$개 많은 경향이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3. 시각적 잔디 품질 역시 규산염(HF) 처리구가 $5.0{\sim}8.3$으로 대조구보다 $0.3{\sim}1.5$정도 우수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반면 생육적기의 잔디 품질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적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규산염(HF)은 우리나라 골프장 그린에 식재된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여름철 뿌리길이 생육에는 효과가 있으며, 살포 농도는 200배액에서 1,000배액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실험은 1년 동안 수행된 결과이므로 최근 해마다 변화는 기후에 대한 규산염(HF)의 균일한 효과검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Batten, S. 1986. Golf course traffic control: Maximizing revenue while protecting the turf. Sports Turf 2(1):32-38
  2. Beard, J.B. 1973. Turfgrass : Science and Culture. Prec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3. Douglas, J.T. and C.E. Crawford. 1998. Soil compaction effects on utilization of nitrogen from livestock slun applied to grassland. Grass and Forage Sci. 53:31-40 https://doi.org/10.1046/j.1365-2494.1998.00101.x
  4. Krans, J. V., and G. V. Johnson. 1974. Some effects of subirrigation on bentgrass during heat stress in the field. Agron. J. 66:526-530 https://doi.org/10.2134/agronj1974.00021962006600040015x
  5. Watschke, T. L., R. E. Schmidt, and E. W. Carson, and R. E. Blaser. 1972. some metabolic phenomena of Kentucky bluegrass under high temperature. Crop Sci 12:87-90 https://doi.org/10.2135/cropsci1972.0011183X001200010030x
  6. Wehner, D. J, D. D. Minner, P. H. Dernoeden, and M. S. Mcintosh. 1985. Heat tolerance of kentucky bluegrass as influenced by pre- and post-stress environment. Agron. J. 75:772-775 https://doi.org/10.2134/agronj1983.00021962007500050012x
  7. Wehner, D. J., and T. L. Watsch. 1981. Heat tolerance of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annual bluegrass. Agron. J. 73:79-84 https://doi.org/10.2134/agronj1981.00021962007300010019x
  8. 골프장신문. 2001. 한국골프장사업협회 통권 31호
  9. 권성호, 서용원, 함선규. 2005. 속효성비료 및 완효성질소성분이 함유된 복합비료가 Creeping Bentgrass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한국잔디학회 학술발표지(제18차): 26-27
  10. 김경남, R.C. Shearman. 1998. 답압조건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페어웨이에서 여러가지 잔디관리방법이 엽 조직 및 토양 질소함유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한국잔디학회 12(2) : 113-126
  11. 김석준, 손기철, 김두환, 이재필. 1999. 식물생장억제제가 Creeping Bentgras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2(3): 173-182
  12. 심포룡, 심규열. 1997. 퍼팅그린의 마모와 골프공의 구름에 미치는 골프화의 영향. 한국잔디학회 11(3) ; 205-210
  13. 안용태 외 11인. 1993. 골프장 관리의 기본과 실제. 한국잔디연구소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85-100
  14. 이상재, 이재필 외 19인. 2005. 골프코스 설계.시공.관리 및 경영. 청연출판사
  15. 이재필, 이성호, 김두환. 2007. 답압하에서 질소, 인산, 칼륨 변화가 골프코스 그린 잔디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1(2): 137-146
  16. 이재필, 이성호, 김두환. 2008. 답압시간과 비료종류가 골프코스 그린 잔디의 품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22(1): 65-74
  17. 제주도농업기술원. 2000. 농촌지도사업보고서. 감자 역병예방 및 수량성 증대를 위한 신물질(하이후레쉬)처리 시험. 147-150
  18. 태현숙, 이형석, 안길만, 김종보. 하절기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품종별 특성비교. 한국잔디학회지 20(2): 147-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