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ffect of Bolt and Sub-bench on the Stabilization of Tunnel Face through FEM Analysis

FEM해석에 의한 막장볼트 및 보조벤치의 막장안정성 효과에 관한 연구

  • 김성열 (동신기술개발주식회사 기술연구소) ;
  • 윤지선 (인하대학교 환경토목공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this paper, review was made for the excavation method and optimum bench length for unstable tunnel face in case of rock classification type V in order to make the best use of in-situ bearing capacity. 3D FEM analys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n the tunnel face and adjacent area with regard to the pattern and number of bolts when face bolts were used as a supplementary meas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full section excavation method with sub-bench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displacement greatly due to early section closure. Displacement-resistant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bolting patterns are grid type, zig-zag type and then circular type in order of their effect. And horizontal extrusion displacement of tunnel face reduces as the number of bolts increase. A grid type face bolt covering $1.5m^2$ of tunnel face could secure the face stability in case of full section excavation method with sub-bench.

본 연구에서는 지반등급 V중에서 막장자립이 곤란한 지반에 대해 지반고유의 지지력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굴착공법 및 적정벤치길이에 대해 검토하고, 보조공법으로 막장볼트를 적용할 경우 타설 패턴, 타설 개수에 따라 막장 및 막장주변지반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되는지에 대해 3차원 FEM해석을 수행하였다. 보조벤치 병용전단면공법이 조기 단면폐합으로 변위를 크게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타설 패턴으로는 격자상, 교호배치형(지그재그형), 원주상순으로 변위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설 개수 증가에 따라 막장축방향 수평변위에 대해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보조벤치 병용 전단면공법굴착시공의 경우 막장부 $1.5m^2$에 1개의 막장볼트(격자상) 타설로 막장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수, 이재호, 문홍득, 김광일, 2008, 정량적인 막장 안정성 평가 기법을 이용한 NATM터널의 보강공법 평가, 한국지반공학회, Vol.24, No.2, pp38-40
  2. 도덕현, 이재현, 고재만, 2003, 암반공동의 설계와 시공, pp98-106, 건설정보사
  3. 박도현, 김영근, 2007, 암반능력의 분포특성을 고려한 터널거동분석에 관한 연구, 터널기술, 제9권 3호, pp275-286
  4. 배성호, 김재민, 김장순, 박의섭, 2007, 국내 암반 초기응력의 전반적 분포특성과 공학적 중요성, 춘계 지질 과학기술 공동 학술대회, pp310-312
  5. 서경원, Nishimura kazho, 김창용, 2006, 실내실험 및 수치해석을 이용한 막장볼트의 최적타설개수에 관한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Vol.16, No6 pp.467-674
  6. 윤지선, 2005, 토목지질학, 미래기술, pp235-241
  7. 조태진, 윤용균, 이연규, 장찬동, 2008, 21C 암반역학, 건설정보사 PP309-312
  8. D. Peila, P.P Oreste & S. Pelizza, 1996, "Study of the influence of sub-horrizontal fiber glass pipes on the stability", Proc. Int. Conf. on North American Tunneling 96. Vol.1, pp425-431
  9. Nick Barton, ZT Bieniaski, 2008 KMR and Q-setting records straight, tunnels & tunnelling international, February, pp26-29
  10. 久溱風․森近裕一郞․山本一郞․藤野晃, 2007 未固結沢部を小かぶりで堀る, トンネルと地下, Vol.38, No.3, pp18-19
  11. 谷本親佰, 吉岡尙也, 1992, 變形に基づくトンネル地山分類の提案, 材料, 第41卷, 第463号, pp424-429
  12. 道廣一利, 吉岡尙也, 2002, 鏡止めボるトの作用效果を三次元 FEMで解析, トンネルと地下, 第33卷, 6号, pp43-48
  13. 東博秋․早瀨邦仁․淺井貞一, 1998, ため池の点在する地域を小かぶり施工, トンネルと地下, Vol.29,No.8, pp25-26
  14. 徐景源, 2006, 新たな切羽ボルトの打設パタン關する硏究, pp151-180
  15. 申僖淳, 鮮于椿, 李斗禾, 2004 토목기술자를 위한 地質調査 및 岩盤分類, 구미서관, pp221-238
  16. 田中一雄, 川上純, 池田宏, 怡土一美, 1996, 切羽變位計測にする切羽朋壞豫測の一試み, トンネルと地下, Vol.27, No.6, pp5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