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llowable Settlement on Tracks of High Speed Railway

고속철도 궤도 종류에 따른 허용침하량 분석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An application of concrete track is being actively processed for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gh speed railway. The concrete track has an advantage in de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whereas it has much difficulty controlling the long term settlement after settlement occurred. Therefore, the management and control of settlement are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concrete trac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allowable settlement between concrete track and ballast track, and piled raft foundation installation effects as settlement reducers for concrete track. Therefore, a series of 3D finite element analys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allowable settlement were performed for major parameters such as soil condition, pile installation and loading type. Based on the analysis, it is shown that concrete track causes much smaller settlement than ballast track, and the effect of installation is necessary to effectively reduce the settlement of concrete track.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궤도의 종류에 따른 허용침하량 분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경부 고속철도에 사용되었던 자갈도상 궤도와 시공예정인 콘크리트 궤도의 대표단면 및 지반 물성치를 바탕으로 철도 운행 시 레일상부에서 열차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침하량을 3차원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콘크리트궤도의 경우에는 원지반의 물성 변화에 따른 침하량 결과를 토대로 말뚝지지전면기초(pile raft foundation) 보강 시 침하 감소 효과를 분석 정리하였다. 본 연구결과, 원지반이 점성토에서는 콘크리트 궤도와 자갈도상 궤도의 사용에 따라 침하량의 차이가 컸으나, 사질토 지반의 경우는 궤도별 침하량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또한 콘크리트 궤도 단면의 침하량 저감을 위한 말뚝 전면기초 시공의 경우, 무보강 단면의 해석결과보다 지지력이 확보되어 침하량 감소가 나타났으며, 말뚝의 길이가 증가될수록 침하량 감소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하중형태의 경우는 기존 설계에 사용되었던 객차 하중에 의한 침하량보다 기관차 하중에 의한 침하량이 더 크게 발생하여 기관차 하중을 통한 궤도 설계를 할 경우 좀 더 안전측 설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1), 도로교 설계시방서
  2. 김경남, 이수형, 정충기, 이해성 (1999). "Piled Raft 기초의 부등침하 최소화를 위한 최적말뚝배치", 대한토목학회논문집, pp.831-839
  3. 김대상, 박영곤, 하태욱, 신민호 (2005), "수치해석을 통한 일반 철도의 강화노반 침하량 및 수직응력 평가", 한국철도학회논문집, pp.24-29
  4. 김만철, 장승엽 (2006), "고속철도 터널에서의 궤도 형식에 따른 궤도와 차체의 진동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pp.125-132
  5. 김명모 (2000), "Piled Raft 기초", 말뚝기초 학술발표 논문집, pp.31-49
  6. 김한종, 이상진, 김재학, 박대근 (2006) "콘크리트궤도 적용을 위 한 궤도/노반 인터페이스 검토", 한국철도학회논문집, pp.24-32
  7. 이수형 (2005). "수치해석을 통한 콘크리트궤도 침하감소 목적의 말뚝기초 설치효과", 한국지반공학회 학술발표 눈문집, pp.73-83
  8. 이일화, 김현기, 황성근, 조용권 (2000), "고속전철 강화노반의 침하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pp.681-690
  9. 이일화, 이수형, 강원석 (2006),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용 흙노 반의 거동 특성", 한국철도학회논문집, pp.298-304
  10. 이진형 (2007), "Nonlinear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Settlement of Piles raft in Clay Soils", 박사학위 논문, pp.10-78
  11. 정근영, 김현기, 이종득 (1999), "도상자갈의 마모/파쇄 특성", 한국철도학회논문집, pp.61-69
  12. 조삼덕, 윤수호, 김진만, 정문경, 김영윤 (2002), "연약지반상 고 속철도 노반 축조시 지오셀 시스템의 효과",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pp.5-12
  13. 철도총합기술연구소 (1992), 철도구조물 등 설계기준 및 동해설 토구조물편, 일본철도총합기술연구소
  14. 최찬용, 이성혁, 황선근 (2007), "철도하중에 따른 강화노반 두께별 토압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pp.217-224
  15. 한국철도시설공단 (2003), 고속철도 전문시방서, 한국철도시설공단
  16.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 고속철도 설계기준 노반편, 한국철도 시설공단
  17. 한국철도시설공단 (2006), 경부고속철도 대구-부산간 궤도공사 시방서. 한국철도시설공단
  18. 한국철도시설공단 (2007), 호남고속철도설계지침 노반편, 한국철 도시설공단
  19. PLAXIS 3D Foudnation (2006), Program manual, version 2, PLAXI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