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성아, 문정순 (1994). 종합병원 근무자들의 이직율.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3(1): 22- 34
- 남미희, 이세훈 (2003). 일개 병원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전략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5(1)1-11
- 노동부 (2004).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문희자, 이혜연 (1997).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심신스트레스학회지, 5(2): 61-77
- 박동현, 배성규 (2003).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물리적/심리적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 107-122
- 박연희 (2005). 수술실 간호사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연구.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춘화 (1999). 응급실 간호사의 근무 중 tm트레스와 간호업무 수행과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배정이, 서문자 (1989).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3): 2 59-272
- 양명석 (1993). 간호사들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관련요인.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종민 (2002). 병원종사자의 직업성 스트레스. 인제의학, Vol.23 No.4
- 유남순 (2006). 요통군과 비요통군 중환자실 간호사의 간호업무활동, 작업환경, 신체역학,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도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성은 (1992). 병원직원의 건강관리. 대한간호, 31 22-5
- 이우천 (1997). 병원근로자들의 직업성 스트레스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유진 (1996). 교대제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적응방법.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영신 (1993). 수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직장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 32(4): 63-73
- 정문희, 이영미 (2007). 중소규모사업장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의 관계. 대한산업의학회지, Vol.19 No.1
- 정진주 (2004). 간호사의 건강, 과연 보호되고 있는가?, NURSE zine, 15, (6)16-21
- 정현숙 (2004). 간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대한 작업관련 위험요인. 인제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권환 (2003), 병원종사자의 근골격계질환 증상 유병률과 위험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현철 (1999). 제 2장 인과관계 모델의 구성원리와 분석사례. LISREL에 의한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법문사
- 한국산업안전공단 (2006). 근골격계부담 작업 유해요인 조사지침
- 한국산업안전공단 서울지역본부 (2006). 비제조 업종별 매뉴얼 - 의료업종 -
- 한상환 (2000).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에서 직무 스트레스 중심의 위험 요인과 경로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Bongers, P.M., Winter, C.R. & Kompier, M.A., Hildebrandt, V.H. (1993). Psycho 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d J Work Envir on Health, 19: 297-312 https://doi.org/10.5271/sjweh.1470
- Engels, J.A., Beek, A.J. & Gulden, J. W. (1998). A LISREL analysis of work-related risk factors and health complaints in the nursing profession.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Nov;71(8):53 7-42 https://doi.org/10.1007/s004200050320
- Jeanne, M.S. (1998).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 Ulrich S, edit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back pain in nurses. 4th ed. Geneva, ILO, 9733-9736
- Lagerlof, E. & Broberg, E. (1989).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In: Brune DK, Elding, C., editors. Occupational hazards in health professions. Boca Raton, CRC Press
- NIOSH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 Punnett, L., Robins, J.M., Wegman, D. H. & Keyserling, W.M. (1985). Soft tissue disorders in the upper limbs of female garment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Dec;11(6):417-425 https://doi.org/10.5271/sjweh.2205
- William, J. & Laurice, B. (1993). A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For Hospital-Based Health Care Personnel. Health and Social Work 18 2, 149-55
- http://www.nso.go.kr/ (2007). 한국의 사회지표: 2007년 한국의 사회지표/ 6. 보건/ 6-26. 의료기관 수
- http://www.nso.go.kr/ (2007). 국가통계포털, 의료기관별 의료인력 및 약사분포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