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MR Findings of Flexor Hallucis Longus Dysfunction

  • 김지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최혜영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최호철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이경규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전경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신태범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 나재범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교실)
  • Kim, Ji-Eun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Hye-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Ho-Cheol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Gyung-Kyu (Department of Radiology,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 Kyung-Nyeo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Tae-Beom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a, Jae-Boem (Department of Radi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8.12.30

초록

목적 : 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알아보고, 이 질환에서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부터 2003년까지 수술로 확진된 40명의 장무지굴근 기능장애 환자 중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2명, 총 24예(2명은 양측성)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장무지굴근과 장무지굴근 건의 신호강도, 장무지굴근 건초와 건초 삼출액, 발목의 골병변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비특이적인 장무지굴근 건초 삼출액의 증가가 12예(50%)에서 나타났으며 다량의 건초 삼출액은 5예(21%)에서 관찰되었다. 장무지굴근 건은 모든 환자에서 정상적으로 관찰되었고, 1예(4%)에서 장무지굴근의 근건 접합부위 상방에 고신호 강도가 관찰되었으며, 거골의 골부종과 거골의 박리성골연골염이 각각 1예(4%)에서 나타났다. 결론 : 장무지굴근 기능장애 환자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비특이적 장무지굴근 건초 삼출액의 증가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무지굴근 기능장애의 진단에 자기공명영상은 제한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내측 발목통증을 유발하는 건이나 골질환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find the MR findings and evaluate the usefulness of MR in flexor hallucis longus(FHL) dys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92 to 2003, fourty patients were found to have surgically confirmed FHL dysfunction. 24 cases of 22 patients who had performed M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ignal intensity of FHL tendon and muscle, tendon sheath, sheath effusion, and bone lesions, retrospectively. Results : Non-specific, increased sheath effusion of FHL tendon was seen in 12 cases (50%). Large amount of sheath effusion(grade 3) was observed in 5 cases (21%). The signal intensity of FHL tendon was normal in all cases. High signal intensity at the FHL muscle, proximal to musculotendinous junction was seen in 1 case (4%). One case (4%) of marrow edema of the talus and another one case (4%) of osteochondritis dissecans of the talus was seen. Conclusion : Non-specific, increased sheath effusion of FHL tendon was observed on MR in FHL dysfunction patients. Therefore, MR has a limited role in diagnosis of FHL dysfunction and is useful to exclude other bone and tendon diseases causing medial ankle pai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