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기숙사 실내공간에 대한 주거만족도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University Students' Housing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 Focusing on the Gwangju & Chonnam Area -

  • 김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과학연구소) ;
  • 오지영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발행 : 2008.12.25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use and user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dormitories in Gwangju and Chonnam and analyse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on the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to 200 university students from Gwangju and the Chonnam area.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onduct comparativ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Below are the study findings. Female student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affinity than male students in the satisfaction about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 Students residing in the rooms for 2 person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private space with common space, study appropriateness etc. than those residing in the rooms for 4 persons. Students residing in the cluster-type room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the division of private space with common spaces study appropriateness and relationship with other students in other rooms etc. In relation to the room environment, female students express less dissatisfaction with the noise than male students. Students residing in the rooms for 2 person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the room size, interior temperature pleasantness, brightness etc. than those residing the in rooms for 4 persons. Students residing in the cluster-type room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the bed size, the condition of interior finishing, interior temperature pleasantness, brightness and interior air pleasantness etc. than those residing in unit-rooms. In relation to common using environment, male student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the library than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residing in the rooms for 4 persons and those residing in the cluster-type rooms express more satisfaction with lounge than those residing in the rooms for 2 persons and those residing in the unit-rooms. Organizing the university domitory plann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demands, based on this study, the change to general function of domitory in sleeping, studying, leisure activity and culture acitivity is needed. Interior environment technical factor of interior air pleasantness and noise should be improv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욱부(1991), 학생기숙사의 계획
  2. 권혜경(2003), 교육대학교 기숙사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동영 외 1인(2008), D-대학교 기숙사 거주시설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2)
  4. 김정희(2002), 청소년의 생활양식, 주거만족도, 주거가치관 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태완(2003), 교육대학교 기숙사의 운영실태에 관한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안옥희 외 2인(1997), 대구권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거 주자의 사용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8(3)
  7. 안진숙(2007), 고등학교 기숙사 공간에 대한 현황 및 사용 자 만족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안진오 외 1인(2007), 대학기숙사 건축에 있어서 공유공간 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4)
  9. 유광호(1996), 집단생활이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연숙(2003), 실내환경 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11. 이태규외 2인(1986), 대학기숙사의 공용공간사용규범에 관 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2. 정정갑(2002), 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 가,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정훈(2005),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 사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정훈 외 2명(2005), 대학기숙사의 시설현황 및 만족도에 관 한 조사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지
  15. 조명희(2003), 서원대학교 기숙사 생활만족도 관련변인 분 석, 학생생활연구
  16. 허진선 외 1인(2001), 기숙사 거주 여대생의 단위공간 내 영역행동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문집, 3(1)
  17. 허진선 외 1인(2002), 기숙사 단위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 및 영역성 지각과 거주만족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 Moss, R.(1978). Social environmental and student living group. E&B. 21(3), 35(권혜경.2003.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