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tton Waste Substrate According to Fermentation Conditions for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느타리버섯 폐면배지의 발효조건별 이화학적 특성

  • Ha, Tai-Moon (Mushroom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Yoon, Seon-Mee (Mushroom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Ju, Young-Cheuol (Mushroom Research Institute,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
  • Sung, Jae-M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Bi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하태문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윤선미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주영철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성재모 (강원대학교 농생물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We have surveyed the vari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bic and anaerobic outdoor fermentation of cotton wastes using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The inner temperature of cotton wastes fermented aerobically covered with thin cloth and setting pallet at bottom was higher than that of anaerobic fermented cotton wastes covered with P.E vinyl and the maximum temperature was $75^{\circ}C$ at 5th day after fermentation. pH of cotton wastes fermented aerobically was increased up to 8.9 after fermentation of $9{\sim}12$ days, but that of anaerobically fermented was decreased up to 5.0. Total carbon content was decreased but total nitrogen content was increased when fermentation was in progress. Oxygen concentration of cotton wastes fermented aerobically was decreased until 6 days after fermentation but increased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Ammonia concentration of cotton wastes fermented aerobically and anaerobically was below 10 ppm and $20{\sim}85\;ppm$ respectively. In anaerobic condition the cotton wastes was contaminated with mold ($15{\sim}50%$), where no contamination was found in aerobic condition during spawn running stage. Yields of mushroom grown on cotton wastes aerobically fermented for $6{\sim}9$ days was $23.0{\sim}23.6\;kg$ per $3.3\;m^2$ area.

느타리버섯 폐면배지 야외발효기간중 피복재 종류별 배지의 이화학적 변화와 균배양 및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지온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 1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발효 5일${\sim}$발효 7일째 최고온도 $75^{\circ}C$ 도달 후 천천히 낮아졌고, 배지의 깊이에 따른 온도차이는 크지 않았다.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배지온도변화의 양상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와 비슷하였으나 최고온도가 약 $60^{\circ}C$ 정도였고 배지 깊이별로 온도차이가 컸으며 배지 깊이 10 cm 부위에서 높았다. 배지내 수분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고,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수분함량 감소가 많았다. 살균전.후의 배지수분함량변화는 살균 시 수분 보충으로 살균 후 수분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배지 pH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져 발효 $9{\sim}12$일째 pH 8.9까지 상승하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30 cm와 50 cm 부위에서 pH $5.0{\sim}5.6$ 정도로 낮아졌다. 배지 총 탄소 함량은 두 처리구 모두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가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낮았고, 총질소 함량은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며,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보다 다소 높았다. 배지내 산소농도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감소한 후 9일째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배지깊이 10 cm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1% 이하로 낮았다. 배지내 이산화탄소농도는 산소농도 변화와 반대로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6일까지 증가한 후 9일째부터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암모니아 함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 깊이 10 cm와 3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50 cm 부위에서 약 $12{\sim}19\;ppm$이었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의 배지깊이 10 cm 부위에서는 10 ppm 이하, 30 cm와 50 cm 깊이에서는 $20{\sim}85\;ppm$ 정도로 높았다. 배지발효조건 및 발효기간별 균배양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12{\sim}14$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15{\sim}19$일보다 짧았고, 초발이 소요일수는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0{\sim}23$일로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 $27{\sim}32$일보다 짧았다. 배양율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 발효 3일 처리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구에서 100%로 높았고, 혐기성발효 유도처리구는 $50{\sim}85%$ 낮았다. 수량은 호기성발효 유도처리구에서 발효기간이 길수록 수량이 증가하여 발효9일째 23.6 kg(건조배지 44 kg당)으로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Barron, G. L. 1988. Microcolonies of bacteria as nutrient source for lignicolous and other fungi. Can. J. Bot. 66:2505-2510 https://doi.org/10.1139/b88-340
  2. Block, S. S., Taso, G. and Han, L. 1958. Production of mushroom from sawdust. J. Agric. Food Chem. 6:923-927 https://doi.org/10.1021/jf60094a009
  3. Garraway, M. O. and Evans, R. C. 1976. Fungal nutrition and physiology. pp. 71-95
  4. Sparling, G. P., Fermor, T. R. and Wood, D. A. 1982. Measurement of the microbial biomass in composted wheat straw and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biomass to the nutrition of Agaricus bisporus. Soil Biol. Biochem. 14:609-611 https://doi.org/10.1016/0038-0717(82)90096-7
  5. Stanier, R. Y., Adelberg, E. A., Ingraham, J. L. and Wheelis, M. L. 1979. Introduction to microbial world. pp. 71-76
  6. Zadrazil, F. 1974. The ecology on industrial production of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florida, Pleurotus cornucopiae and Pleurotus eyngii. Mushroom Sci. 9(1):621-652
  7. 김광포, 장현세, 김동수. 1975. 통일볏짚을 이용한 양송이 퇴비제조 방법에 관한 시험. 농사시험연구보고서 제17보(토양비료, 작물보호, 균이편). pp. 129-135
  8. 농림부. 2004. 특용작물생산실적. pp. 44-81
  9.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10. 박용환, 고승주, 김동수. 1973. 볏짚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재배에 관한 연구. 농사시험연구보고서 제17보 (토양비료,작물보호,균이편). pp. 103-107
  11. 성재모, 문희우, 박동수. 1999. 액체배양에서 느타리버섯균의 적합한 생장조건 구명. 한국균학회지 27(1):1-9
  12. 성재모, 유영복, 차동열. 1998. 버섯학. 교학사. pp. 100-101
  13. 신문수. 2001. 버섯의 발효생리와 배지제조. 버섯 5(2):53-77
  14. 전창성, 장갑열, 조수묵, 오세종, 박정식, 원항연. 2004. 느타리버섯 재배용 폐면발효 중의 화학성 및 미생물상의 변화. 한국균학회지 32(2):105-111
  15. 차동열, 유창현, 김광포. 1989. 최신버섯재배기술. 상록사

Cited by

  1. Changes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oak sawdust during fermentation vol.12, pp.3, 2014, https://doi.org/10.14480/JM.2014.12.3.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