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n The Great Three Books of Oriental Medicines

한의약학(韓醫藥學)의 삼대원전(三大原典)에 대한 비교 분석

  • Choi, Myung-Sook (Department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Traditional Medicines Research Institute) ;
  • Yim, Dong-Sool (Department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Traditional Medicines Research Institute) ;
  • Lee, Sook-Yeon (Department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Traditional Medicines Research Institute)
  • 최명숙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전통의약연구소) ;
  • 임동술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전통의약연구소) ;
  • 이숙연 (삼육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전통의약연구소)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In the Oriental Medicine field the great three reference books are Hwantienaekyung(黃帝內徑, HJNK), Sihnnongbonchokyung(神農本草經, BCK) and Shanghanlun(SHR). HJNK has been a theory book regarded as a bible of the Oriental Medicine, BCK, a herbal book with 365 species of red letters noticed from Bonchokyungjipjoo(本草經集註) and SHR, very important clinical book with concrete prescriptions for the therapy of patients. Though these books were written by Chinese people ca. 2000 years ago, yet they are no doubt very important and effective ones in these days. Unfortunately they are handed down to all transmitted books for a long times because original ones were destroyed by fire and another troubles. In this study we have tried to extract three common terminological words and common theories from the prescription law by theoretical principles(理法方藥, clinical therapeutic mechanism) acquir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hree books. They are qi(氣), cold or heat(寒熱) and yin & yang(陰陽), and their practical basic theories have been evidenced through exterior & interior of body(表裏) and deficiency or exessiveness(虛實) by the heat of Sun. Also we would have realized that Oriental Medicine should be analyzed through various scientific techniques and clinical experiences, and necessarily unified to yin & yang monism from qi theory of the Sun in all human's life cycle(生老病死).

Keywords

References

  1. Otsuka Keisetsu SHANG HAN LUN (THE GREAT CLASSIC OF CHINESE MEDICINE) Published, Translated, and Edited by Hong-yen Hsu, William G. Peacher, M.D. Oriental Healing Arts of United States, Los Angeles, p. i-xxxvii (1981)
  2. 朴鍾甲 譯/ 大塚敬節 傷寒論解說 書院堂 p. 3-58 (1984)
  3. 박헌재 저 상한론개론(육경증치개론) 약업신문사 출판국 p. 7-10 (1984)
  4. 최명숙, 임동술, 이숙연 상한론의 서지학적 연구 (1) Sahmyook University Journal Vol. 39, p. 339-357 (2004)
  5. 최명숙 東洋醫藥學의 統合理論에 관한 연구 -新 傷寒論에 대하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64 (2005)
  6. 최명숙, 임동술, 이숙연 상한론의 서지학적 연구 (II) 기(氣)와 힉스(higgs)의 비교연구 Sahmyook University Journal Vol. 40. p. 319-342 (2006)
  7. 최명숙, 임동술, 이숙연 한의약학의 서지학적연구 (I) -상한론 중심으로- Yakhakhoeji Vol. 50, No. 4. p. 234-243 (2006)
  8. 최명숙, 임동술, 이숙연 한의약학의 서지학적 연구 (II)-[新傷寒論] -老莊思想에 의한 한의약학의 과학적 통합이론-약학회지 Vol. 51. No. 1. p. 13-34 (2007)
  9. Myungsook Choi, Dongsool Yim, and Sookyeon Le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great three books of oriental medicines Department of Pharmacy, Graduate school of Sahmyook University, Traditional Medicines Research Institute, Seoul 139-742, Korea, The 4th KOREA, JAPAN-CHINA Joint Symposium, Poster Presentation, PB-76, p. 228, 2008.6
  10. 최명숙 東西醫藥學의 統攝論 -기에 근거한 태양론과 분자세포생물론의 비교연구-, 삼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56, 193. (2008)
  11. 紫軒洪元植 編著 中國 醫學史 東洋醫學硏究院, p. 98-102, 141, 157, 160, 306, 316-326 (1984)
  1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THE WESTERN PACIFIC REGION, p. 9-018, 39-46, 79-80, 106-12 (2007)
  13. 洪元植 譯: 黃帝內經素問 解釋, 高文社 p. 34, 71, 166 (1980)
  14. 김창민외 4 인 공저 黃帝內經 講義 도서출판 정담, p. 5-14 (1999)
  15. 김동영 저 황제내경소문연구 서원당 p. 208, (2000)
  16. 趙洙翼 역해 新譯 통감(通鑑) 弘新文化史 p. 83 (1993)
  17. 周大璞지음, 정명수, 장동우 옮김, 훈고학의 이해 동양학공구총서 I, 도서출판동과서 p. 19, 321, 442, 459, 479, 467 (1997)
  18. 이원순 외 5人 역사부도 1992. 한국2종 교과서협회, (주)교학사 p. 47-91
  19. 金斗鍾 韓國醫學史 探求堂 p. 45-49, 75-85, 170, 347, 464, 553 (1981)
  20. 柳坪秀 해역 列子 자유문고 p. 98, 14-17 (1995)
  21. 노태준(盧台俊)역해 新譯 周 易 홍신문화사 p. 387-414 (1986)
  22. 김희영 지음 이야기중국사 (1) 고대로부터 전한까지 청아출판사 p. 14 (2004)
  23. 백연욱, 이기석, 이가원 감수 신역 書經 홍신문화사 p. 37-61 (1986)
  24.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DONG-A'S ENCYCLOPEDIA) 동아출판사 24권 p. 530-532, 28권 p. 59-65, 30권 p. 472 (1983)
  25. 중국사회과학원 왕웨이(王巍) 우하량홍산문화유적의 발굴 한국인의 고향인 신비의 왕국을 찾았다. (14)한국인터넷 과학소식지- 2008년 1월 31일
  26. 송정화 홍산문화의 신화. 종교적의미 한국도교문화학회 발표 (2004. 11. 20)
  27. 전인초, 정재서, 김선자, 이인택 공저, 중국신화의 이해 아카넷, p. 30, 249 (2002)
  28. 정재서(鄭在書) 산해경(山海經) 民音社 p. 14-17 (1985)
  29. 이윤기 옮김/ 토마스벌핀치 지음 그리스와 로마의 신화집 대원사 p. 27(1989)
  30. 중앙일보. 예술의 전당 다윗도시와 성서의 세계圖錄 p. 12, 29 (1998)
  31. 김정화 이집트 문명대탐험 도록, ICRD p. 48 (1998)
  32. 박광순 옮김 헤로도투스 범우사 상 p. 336-338, 하 p. 436 (1998)
  33. 중앙일보. 예술의 전당, 간다라미술圖錄 The Exhibition of Gandhara Art of Pakistan p. 20, 23 (1999)
  34. Maurice Griffe ASIA MINOR AND MESOPOTAMIA FRANCE (2002)
  35. Julian Reade Mesopotamia, British Museum p. 60, 64 (2000)
  36. The Louvre Collection musees nationaux, p. 54, 55 (1999)
  37. Andrew Robinson The story of writing Thames & Hudson Ltd, London. p. 94, 146 (2003)
  38. 신동욱 역/D. E. Duncan저 The history of calenda CNC MEDIA, p. 42, 46, 49 (1999)
  39. 김정환 옮김/ Graham Hancock & Santha Faiia HEAVEN'S MIRROR)김영사, 서울, p. 38, 361 (2000)
  40. MICHAEL WOOD/강주헌 옮김 인류최초의 문명들 BBC, 중앙 M&B, 김영사, 서울, p. 38, 361 (2000)
  41. J. G. Macqueen The HITTITES Thames & Hudson, p. 141 (1996)
  42. Susan Whitfield AUREL STEIN ON THE SILK ROAD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p. 102 (2004)
  43. John Curtis Mesopotamia and Iran in the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Rejection and Revival c, BC238-AD642. The Trustees of the British Museum p. 12-13 (2000)
  44. 쯔끼호라유즈루 著, 동양사상연구회 篇譯, 管子 知文社 p. 27 (1990)
  45. 강영계옮김/ C. Friedlein 지음 서양철학사 서광사 p. 76, 342, 384 (1985)
  46. 李成珪 譯/司馬遷 著 史記 Vol. l. 대학고전총서, 서울대학교 p. 38, 498, 514 (1987)
  47. 장기근, 이석호 공역 老 子/ 莊 子 삼성출판사 p. 31, 126, 131, 413 (1992)
  48. 金恒培 老莊思想에있어서의 道의辨證論理와 認識論理의 統一 ,철학연구 p. 19, 181 (1984)
  49. 李相玉譯著 명문동양고전 禮記 上 명문당 p. 1-13 (1991)
  50. 表文台의 新譯正本 四書五經 論語 민예사 358-382 (1987)
  51. 金學主 신역 論語 대학고전총서5 서울대학교 p. 9-12 (1999)
  52. 李民樹 譯解 新譯 諸子百家 홍신문화사 p. 10, 274 (1991)
  53. 許成道 晏子春秋成書時期考 中國學報 p. 1-20, 95-114 (1979)
  54. 한용우 新譯, 孟子 弘新文化社 p. 399-400 (1986)
  55. 李寅浩 司馬遷의 黃老思想 p. 5, (1996)
  56. 朴志焄 鄭日童 著, 漢初의 政治와 黃老思想, 書評論考 p. 282, 287 (1998). 21. 4. 이기석
  57. 김영식, 김제란 옮김/조셉 니덤 저, 콜린 로넌 축약 중국의 과학과 문명 축약본 1. 사상적 배경, 까치출판사 p. 117-142, 157, 349 (1998)
  58. 崔大林 新譯 순자荀子 홍신문화사 p. 66 비십이자편 (1993)
  59. 성동호 역 韓非子 홍신문화사 p. 17 128 (1993)
  60. 이운구 지음 동아시아의 비판사상의 뿌리 도서출판 길 p. 98 (2005)
  61. 권오석 역 新譯 默子 홍신문화사 , p. 25-60 (1991)
  62. 임채우(林采佑) 왕필(王弼)의 노자(老子) 예문서원 p. 294-303 (1997)
  63. 吳二煥 譯/ 狩野直喜著 中國 哲學史 을유문화사 p. 18, 29 (1991)
  64. 도광순(都光淳) 신선사상과 도교, 범우사 p. 17-18 (1994)
  65. 劉明鍾저 性理學과 陽明學 연세대학교출판부 p. 8, 10, 24, 55, 115, 217-221 (1994)
  66. 이기석 한용우역. 李家源監修 大學.中庸 홍신문화사 p. 11-20 (1987)
  67. 김신근, 동양 의약학의 발자취, 약업신문 기고문, 1992 년 8월
  68. 김신근, '동양의약학의 발자취, 전국위생회 개최 1950년 8월의 중서의학 합작문제 제1회 약업신문 (1992년 8월)
  69. 약학대학 한약학 교재연구회편, 김창민 외 공저 韓藥方 劑學 도서출판 정담, p. 71-72, 167-172 (1994)
  70. 이상룡 동양의학과 서양의학 월간생명보험 생활한방 11월호 p. 71-81 (2002)
  71. 제4회 주역학(周易學) 학술대회 주역(周易)과 수리 물리학 사단법인 동방문화진흥회 부설, 홍역사상연구소, 8월 3일 오후 2:30-6:00 (2002)
  72. 허주 역, 아커크네히트의 世界 醫學史 지식산업사 p. 28-99 (1987)
  73. 오정혜 편저 충남대학교유학연구소 畿湖學派의철학사상 p. 1-30 (1995)
  74. 김창민, 류순섭 공저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 아카데미 p. 206 (2002)
  75. 한국 생약 교수협의회 편저 本草學 대한약사회, p. 29 (1994)
  76. 陳存仁著, 圖說 漢方醫藥大辭典/中國藥學大典, 圖書出 版 松嶽 1권 p. 124 (1988)
  77. 朴盛洙, 廉泰煥 共著 現代漢方講座 大韓漢方醫學, 행림사 p. 23-99 (1963)
  78. 許浚 저, 남산당 국역 동의보감 p. 544-599 (1613발행) (1975국역)
  79. 漢方醫藥學 附. 傷寒論/ 金櫃要略 , 東南出版社 p. 54 (1985)
  80. 대한약사한약연구회편, 문종영 편집 傷寒論 과 金櫃要略 서대구인쇄사 (1986)
  81. 高柄璿 編著 漢方便鑑 前篇, 대구시약사회 p. 1-3 (1976)
  82. 廉龍河, 河基泰, 玄東煥, 尹相柱, 金俊錡, 崔達永 金匱要略과 傷寒論 의 相似條文에 대한 分析,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第9券 D.J.I.O.M. Vol. 9. p. 155-163 (2000)
  83. 崔埈培 傷寒論 槪括에 관한 小考 학술대회 발표논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p. 100-112 (2002)
  84. 許程 譯/Pierre Huard, Ming Wong共著 東洋醫學史(CHINESE MEDICINE),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 3, 5, 7, 9, 14 (1986)
  85. 湯本求眞 著, 朱甲得 譯 皇漢醫學 第壹券, 癸丑文化社, p. 11-20 (1974)
  86. 龍野一雄 編著, 廉泰煥 譯 仲景方類聚 癸丑文化社 p. 1-6 (1974)
  87. 김창민외 傷寒論硏究會 共譯/李培生, 劉渡舟,공저 傷寒論講義 ,高等醫藥阮敎材, 上海科學技術出版社, 圖書出版 鼎談 p. 1-4, 67 (1997)
  88. 大韓藥師漢藥硏究會편, 李承吉유고집 以導傷寒論講座 동신출판사 p. 3-13, 32-34 (2000)
  89. 李培生, 劉渡舟編輯, 傷寒論講義 , 供中醫專業用, 高等醫藥阮敎材,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7)
  90. 대한약사한약연구회편 以導 李承吉 先生 古稀記念治驗論集 메디칼인덱스 p. 22-38 (1992).89
  91. 田炳薰, 禹元洪, 鄭遇悅 傷寒論六經槪念에 對하여 동의병리학회지 Vol. 5. p. 131-138 (1990)
  92. 淸, 兪根初 著 通俗傷寒論 旋風出版社, 台北 p. 1 (1965)
  93. 淸, 柯琴 編纂 傷寒來蘇集 旋風出版社, 台北 p. 1-8 (1962)
  94. 이은구 지음 인도문화의 이해 세광출판사, p. 327 (1995)
  95. 이기명, 1999년 노벨물리학상 21세기물리학의 방향, 양자론적 접근, 양스밀스의 이론과 힉스방식 물리학과 첨단기술- 9(1), (2)(2000)
  96. 김재관 특집99노벨물리학상 게이지이론(gauge bosons)의 발전 물리학과 첨단기술, 8(12),(1999)
  97. 漢, 張仲景 著, 傷寒論 과 金櫃要略方論 傳流廣籍 影印本珍 台聯國風出版社印行 台北 상한론 p. 1-10, 금궤 p. 3 (1957)
  98. 최명숙. 기획연재 과립제 중심 임상한약 약사공론 (kpanews.co.kr) 매주 목용일 학술 난 21면, 3433호-제 3795 중 147회, 2002년 4월-2005년 11월까지
  99. Mervyn G. Hardinge, A Physician Explains Ellen White Counsel on DRUGS, HERBS, AND NATURAL REMEDIES Review and Herald, p. 28-40 (2001)
  100. 손병욱 역/최한기(崔漢綺)저 기학(氣學) 통나무, p. 42, 52, 101 (2004)
  101. Karl R. Popper/이한구 옮김 추측과 논박 민음사, p. 108, 399, 492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