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Hydraulic Effect due to the Outflow of Paldang Dam at Hangang Parks

팔당댐 방류량에 따른 한강 시민공원의 수리학적 영향 분석

  • 이재준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곽창재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상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Hangang Parks have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source of various Civilian activities by providing a natural space near Han River ever since it was developed. Due to the local-heavy rain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 the Hangang Parks tends to be easily overflowed. Evacuation of the park in emergency and its controlled system should be made for the sake of Civilian's safety. In this study, various basic data and several parameters were analyzed to simulate the hydraulic effect of Hangang Parks based on the outflow in $P1/4{\div}1/4^3$ Dam. Rising effects of flood water level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on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numerical hydraulic models. Relationships of water level and travel time of flood between key station and centeral part of each park were also identified. It can be used to forecast the future flood water level of each individual park in Hangang Parks. Obtained results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rational plan of usage, management, citizen's safety, and emergency action plan of the Hangang Parks as the flood is occurred from the outflow of Paldang dam.

서울시민의 대표적인 친수환경 공간인 한강시민공원은 조성 이후 이용자에게 위락 및 자연공간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여 왔으나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이상기상현상과 국지적 집중호우의 증가에 따른 도시지역 및 상류지역의 홍수 발생시에는 한강시민공원의 폐쇄와 함께 이용자의 접근을 사전통제하거나 신속하게 대피시켜 안전을 도모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방류량에 따른 한강시민공원의 수리학적 영향을 모의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본 자료와 매개변수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였고, 1차원 및 2차원 수리수치모형을 통한 한강시민공원의 홍수위 영향을 분석함과 아울러 조석의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상류부 Key Station과 하류부 한강시민공원 각 지구간의 수위관계식 및 홍수도달시간관계식을 제시하여 한강시민공원 각 지구에서 장래의 홍수위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홍수 발생시 한강시민공원의 합리적인 이용 및 관리와 이용자의 안전 및 비상대처계획 등의 수립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02) 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보 완)(팔당댐-하구). 건설교통부
  2. 김동구, 김원, 김상호 (2001)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UNET 모형의 적용. 2001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673-678
  3. 김상호, 김원 (2002) 한강 하류부 흐름해석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 의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 호, pp. 485-500
  4. 김상호, 김원 (2007) 한강 하류부 동수역학적 흐름거동에 대한 연구(신곡수중보를 중심으로). 2006년 분과위원회 연구과업보 고서, 한국수자원학회, pp. 31-75
  5. 김상호, 김원, 최홍식 (2003) 한강 및 임진강의 조위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2호, pp. 301-313
  6. 김원, 김양수, 우효섭 (1995)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한강 하류부 하도의 조도계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6호, pp. 133-146
  7. 김원, 김창완, 윤광석, 윤태훈 (2001) 신곡수중보와 조석운동을 고려한 한강 본류의 흐름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 학회, 제21권, 제3B호, pp. 305-314
  8. 김원, 우효섭, 김양수 (1996) 1차원 St. Venant 방정식을 이용한 한강 하류부 하도의 홍수류 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1호, pp. 163-179
  9.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02) 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서울지 방국토관리청
  10. 서울특별시 한강관리사업소 (2002) 2002 풍수해백서. 서울특별시
  11. 서울특별시 한강시민공원사업소 (2005) 2005 풍수해 대책(재해없 는 한강). 서울특별시
  12. 서울특별시 한강시민공원사업소 (2006) 2006 풍수해 대책(재해없 는 한강). 서울특별시
  13. 안익장, 고진석, 최병호 (1994) 동수역학적 모형에 의한 한강 홍 수의 실시간 산정. 1994년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II), 대한토목학회, pp. 217-220
  14. 유명관, 전경수 (2004) 홍수시 댐 운영방안을 내부 경계조건으로 포함하는 부정류 계산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 학회, 제37권, 제12호, pp. 1043-1054
  15. 윤태훈, 이종욱, 제갈선동 (2000) 동수역학모형의 매개변수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1호, pp. 39-50
  16. 이을래, 김원, 김상호 (2005) 수리학적 인자에 의한 한강에서의 홍수위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8권, 제2호, pp. 121-131 https://doi.org/10.3741/JKWRA.2005.38.2.121
  17. 이정규, 이창형 (2003)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한 한강하 류부의 조도계수 산정. 2003년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 847-850
  18. 이정규, 전세호 (2004) 부정류 모형을 이용한 한강의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4권, 제4B호, pp. 301-310.
  19. 이종태, 한건연, 서병하 (1993) 한강의 홍수규모에 따른 인도교 수위의 조석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2호, pp. 67-77
  20. 한강시민공원사업소 (2006) 2006년도 저수로 측량성과
  21. 한강홍수통제소 (1997)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한 한강 상류부 하도 의 홍수예측모형 개발
  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신곡수중보의 영향 및 흐름특성 조사
  23. 한국수자원학회, 서울특별시 (2002) '01 수해백서
  24.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25. 해양수산부 (2001, 2002)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영향 연 구(I,II)
  26. 황의준, 전경수 (1997) 한강 본류에 대한 부정류 계산모형 : 모 형의 보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 5호, pp. 549-559
  27. ECGL (2005) SMS Version 8.0 Reference Manual. Brigham Young University
  28. Haestad Method, G. Dyhouse, J. Hatchett, and J. Benn (2003) Floodplain Modeling Using HEC-RAS, First Edition, Hasetad Press, 69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