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Han River Estuary (The Effect of the Removing of a Weir)

한강 하구역에서의 지하수위 변화에 관한 연구(수중보 철거로 인한 영향)

  • Kim, Sang-Ju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won University)
  • 김상준 (경원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near the Shingok weir has been analyzed. To consider the soil inhomogeneity, coefficient of effective permeability was computed to be 0.313 m/da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0.0423 m/day in vertical direction. Anisotropic ratio is 7.19. The river water level drawdown (caused by the removing of the weir) causes the groundwater level drawdown, and 3 months are required for the new steady condition. and groundwater flows from Han river toward Gulpo stream before the removing of the weir, but when the weir removed, the flow direction changes. The groundwater level falls maximum 30 cm in the areas under the influence of Han river, but, in the areas near Kulpo stream, groundwater level falls about 10 cm. The amount of groundwater use in the study area was investigated to be $52m^3/day$ and in this condition, groundwater level falls maximum 1m (before or after the removing of Shingok weir). therefore,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the removing of Shingok weir is less than that caused by the usual use of groundwater.

한강 하구역에 존재하는 신곡수중보의 철거 유무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을 MODFLOW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예측하였다. 토양의 비균질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유효투수계수를 산정하였으며, 그 값은 지표면과 수평방향의 경우 0.313 m/day, 지표면과 수직 방향의 경우 0.0423 m/day이며, 이방성비는 7.19이다. 수중보 철거로 인한 하천 수위 하강은 지하수위 하강을 초래하며, 새로운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3개월이 소요된다. 또한, 수중보 철거전에는 한강 본류에서 굴포천 쪽으로 지하수 함양이 되지만, 수중보 철거후에는 그 반대의 방향으로 기저유출이 진행된다. 수중보 철거로 인해서 수중보 상류 한강 본류의 영향을 받는 인접 지역에서는 최대 30 cm의 지하수위 감소가 발생한다. 그러나 수중보 하류의 수위를 배수 기점 수위로 하는 굴포천의 영향을 받는 굴포천 인근 지역에서는 약 10 cm의 지하수 하강이 발생한다. 한편, 대상 지역 부근의 단위면적당($km^2$) 지하수 이용량은 $52m^3/day$이며, 이러한 지하수 이용량은 신곡 수중보 철거 전후를 망라하여 최대 1 m의 지하수위 하강을 유발한다. 즉, 수중보의 철거로 인하여 유발되는 지하수위의 변동은 상시의 지하수의 이용량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에 미치지 못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3). 지하수 기초조사 및 수문지질도 제작관리 지침
  2. 국가지하수정보센터 http://www.gims.go.kr
  3.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go.kr
  4. 배상근 (2001). 지하수와 유역의 하류부에 위치하는 호수의비정상 교류에 대한 수치해석, 대한토목학회, 21(3-B),185-192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한강 연접지역 경관관리방안 연구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자연형 하천으로의 정비방안 연구
  7. 선우중호 (2006). 수문학, 동명사
  8. 송재우, 백원경, 정우창 (1995). SUTRA 수치모형을 이용한해안대수층에서의 염수침입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15(1), 173-179
  9. 안상도, 김경호(2000).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19(2), 143-155
  10. 전보현, 최용석 (1997). MODFLOW의 입력변수를 확장한 3차원 지하수 유동 시물레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 34, 420-431
  11. 정상옥 등 (1994).MODFLOW 모형을 이용한 부곡온천지역지하수 유동해석, 한국수문학회지 27(1), 79-87
  12. 정현영, 송무영, 이경주 (2001). 지하 석유비축기지 주변의 지하수 개발에 의한 수리지질학적 영향의 수치해석 연구,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1(1), 37-50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신곡 수중보의 영향 및 흐름 특성 조사
  14. 한국수자원공사 (2005). 인천 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15. Anderson, M.P. and Woessner, W.W. (1992). Applied groundwater modeling: Simulation of flow and advective transtransport,Academic Press Inc
  16. Douglas, P.D. and Charles W.D. (1999)."Regional groundwater flow model con-struction and wellfield site selection in a karst area, Lake City, Florida",Engineering Geology, 52,129-139 https://doi.org/10.1016/S0013-7952(98)00066-0
  17. McDonald, M.G. and Harbaugh, A.W. (1991)."MODFLOW:A Modular thre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flow model",IGWMC Groundwater Modeling Software, International Groundwater Modeling Center, Colorado USA
  18. Pinder, G.F. and Bredehoeft, J.D. (1970)."Digital analysis of areal flow in multiquifer groundwater systems: A quasi three dimensional model", Water Resour. Res., 6(1), 194-210 https://doi.org/10.1029/WR006i001p00194
  19. Ramireddygari, S.R., Sophocleous, M.A. and Koelliker, J.K.(2000)."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impacts of watershed structures and irrigation water use on streamflow and groundwater:the case of Wet Walnut Greek Watershed, Kansas,USA", Journal of Hydrology, 236, 223-246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95-X
  20. Sophocleous, M.A. and Samuel, P.P. (2000)."Methodology and application of combined watershed and groundwatermodels in Kansas",Journal of Hydrology, 236, 185-201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93-6
  21. Waterloo Hydrogeologic Inc. (2002). Visual modflow v.3.0 user's mannual
  22. Waterloo Hydrogeologic Inc. (2002). MODFLOW packages reference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