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for 'Education 2.0' service case and Network Architecture Analysis using convergence technology

융합 기술을 활용한 '교육 2.0' 서비스 사례조사와 네트워크 아키텍처 분석에 관한 연구

  • 강장묵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강성욱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
  • 문송철 (남서울대학교 컴퓨터학과)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Convergence technology stimulating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to the public of web 2.0 such as Open-API, Mash-Up, Syndication gives diversity to education field. The convergence in education field means the revolution toward education 2.0 and new education reflecting web 2.0 stream is called 'education 2.0'. Education environment can be the space of social network intimately linked between learners, educator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 Network technology developed in ontology language makes it possible to educate semantically which understands privatized education service and connection. Especially, filtering system by the reputation system of Amazon and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Wikipedia are the best samples. Education area can adopt actively because learners as educational main body can broaden their role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e bilaterally in the equal position. In this paper, new network architecture in contents linkage is introduced and researched for utilization and analysis of the architecture for web 2.0 technology and educational contents are to be converged. Education 2.0 service utilizing convergence technology and network architecture for realizing education 2.0 is introduced and analyzed so that the research could be a preceding research to the education 2.0 platform foundation.

개방-API, 매쉬업, 신디케이션 등 웹 2.0의 참여 공유 개방을 촉진시키는 융합기술이 교육 분야에도 변화를 주고 있는데, 교육 분야에서의 융합은 '교육 2.0'으로의 진화를 뜻하며 이러한 웹 2.0의 사조가 반영된 기술 환경에서의 새로운 교육을 '교육 2.0'이라고 지칭한다. 교육 환경은 학습자, 교육자 그리고 교육기관 간의 긴밀한 소셜 네트워크의 공간이다. 온톨로지 언어로 개발된 디지털 관계망 기술은 개인화된 교육 서비스와 맥락을 이해한 시맨틱한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아마존의 평판 시스템, 위키피디아의 집단지성에 의한 여과시스템 등은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로서 참여의 역할을 넓히고 쌍방향적인 대등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웹 2.0 사상을 반영한 '교육 2.0' 서비스는 현재 운영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시스템 최신화의 수준이 아니라 교육하는 방법과 기술에 대한 다양한 함의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 2.0' 서비스가 실현되기 위하여 아직 적극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교육 2.0'의 개념을 융합 기술의 문맥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웹 2.0 기술과 교육 콘텐츠가 융합하기 위해 콘텐츠간의 연결에 있어서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소개하고 이의 활용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2.0'을 실현하기 위하여 융합 기술을 활용한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교육 2.0' 서비스를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육 2.0' 플랫폼 구축에 선행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전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