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의 홍수기 및 갈수기의 오염물질 체류시간 산정

Estimation of Pollutants Residence Time During the Flood and Dry Season in Gwangyang Bay

  • 이인철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김진혁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공화훈 (삼성중공업(주) 해양설계 1팀 배관설계)
  • Lee, In-Cheol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in-Hyuk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ong, Hwa-Hun (Samsung Heavy Industry Co. Ltd. Offshore Engineering Team 1 Piping Design)
  • 발행 : 2008.12.31

초록

In this paper, in order to set up the management system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in Gwangyang Bay, the cluster analysis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the estimation of inflowing pollutant loads and residence time of pollutants in this bay was carried out. The Gwangyang Bay was divided into eight sea areas by cluster analysis and spatio-temporal change of water quality. The river discharges in the Bay were calculated about $11,681{\times}103m^3/day$ from the numerical simulation by Tank model. In addition, inflowing pollutant loads of COD, SS, TN, TP, DIN and DIP in Gwangyang Bay were estimated at 398 ton-COD/day, 2,846 ton-SS/day, 195 ton-TN/day, 5 ton-TP/day, 126 ton-DIN/day and 3 ton-DIP/day, respectively. Moreover, residence times of COD, TN and TP in the Bay was estimated at 6 days-COD, 20 days-TN and 195 days-TP, respectively in the dry season, and 3 days-COD, 6 days-TN and 21 days- TP, respectively, in the flood season. The central part of Gwangyang Bay (Region IV) has the longest residence time of overall pollut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4). 하천일람
  2. 국립수산과학원 (2004 -2006). 해양조사연보
  3. 권기영, 문창호, 양한섭 (2001).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영양염의 거동', 한국수산학회지, Vol 34, No 3, pp 199-206
  4. 기상청 (2004 -2006). 기상월보
  5. 김광수, 이남일 (2003). '목포항에 유입하는 오염부하량 산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6, No 1, pp 11-20
  6. 김도희, 조현서, 이영식 (2005). '광양만으로 유입되는 질소, 인의 점원 오염부하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8, No 1, pp 1-8
  7. 김종규, 김명원, 강태순, 윤은찬 (2006). '섬진강 유출수의 3차원 거동특성',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4호, pp 50-57
  8. 영산강홍수통제소 홈페이지 (2004). 송정수위국 실시간 유량자료, //www.hrfco.go.kr/youngsan
  9.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 (2003a).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시. 공간적 변동특성(I) -하천유량과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7권, 제4호 pp 23-30
  10.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 (2003b).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시.공간적 변동특성(II)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 상호거동-',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7권, 제5호, pp 32-38
  11. 이대인, 박청길, 조현서 (2001). '점원 오염부하 제어에 의한 광양만의 수질관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4, No 3, pp 28-39
  12. 이대인, 조현서 (2002). '가막만 유역의 오염부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11, No 9, pp 945-954
  13. 이대인, 조현서, 조천래, 이정훈, 강조해, 최민호, 김도희, 윤진숙 (2004). '광양만 유역 오염원 및 오염부하량 경년 변동',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01-208
  14. 이인철 (2003).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예측',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Vol 6, No 3, pp 63-71
  15. 조원일, 강기봉 (2003). '물질순환 모델을 이용한 제주항의 수질관리,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한국환경과학회지, Vol 12, No 3, pp 307-317
  16. 조창우 (2004). 광양만과 진주만 사이의 해수 순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최다미 (2006). 광양만 해역의 수질에 관한 계절 및 연간변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해양수산부 (2005). 광양만 연안관리지역계획, pp 194-198
  19. 해양수산부 (2002). 환경관리해역 환경개선연구, pp 647-658
  20. Hashino, M., Yao H. and Yoshida H. (2002). 'Studies and Evaluations on Interception Processes During Rainfall Based on a Tank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55, pp 1-11 https://doi.org/10.1016/S0022-1694(01)00506-6
  21. Lee, I.C., Ukita, M., Fujita, K. and Senkine, M. (1995). 'A Study on the Budget of Net Flux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Responce in Seto Inland Sea', Proceeding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 32, pp 239-300 (in Japane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