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 무선 LAN 시스템을 위한 저전력/저면적 MIMO-OFDM 기저대역 프로세서 설계

Design of Low-Power and Low-Complexity MIMO-OFDM Baseband Processor for High Speed WLAN Systems

  • 임준하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정보통신용SoC설계 연구실) ;
  • 조미숙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정보통신용SoC설계 연구실) ;
  • 정윤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 ;
  • 김재석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발행 : 2008.11.30

초록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고속 무선 LAN 시스템에 적합한 저전력/저면적 MIMO-OFDM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효율적인 하드웨어 구조를 제시한다. 고속 무선 LAN 시스템은 최대 수백 Mbps의 데이터 속도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시스템 클럭과 다중경로 구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소모 전력과 구현 면적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으로 동작하면서도 동시에 하드웨어 부담을 줄인 고속 무선 LAN 시스템용 기저대역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서 비트 병렬 처리 구조로 설계된 송신단 PLCP(TX-PLCP) 프로세서와 연산 복잡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심볼 검출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TX-PLCP 프로세서 구조는 비트 병렬 처리를 통해 동작 주파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력소모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PMD 프로세서에서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심볼 검출기는 수식 변형을 통해서 나눗셈 연산 및 제곱근 연산을 제거함으로써 저면적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제안된 하드웨어 구조를 적용한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Verilog HDL을 통해 설계 및 검증되었으며, 0.18um CMOS 공정을 통해 합성되었다. 합성결과, 병렬처리 구조를 적용한 TX-PLCP 프로세서는 비트 직렬 처리 구조에 비해 약 81% 감소된 전력에서 동작함을 확인하였고, 제안된 심볼 검출기는 나눗셈 및 제곱근 연산을 포함하는 심볼 검출 기법에 비해 약 18% 정도 하드웨어 복잡도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low-power, low-complex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results of a high speed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MIMO-OFDM) wireless LAN (WLAN) baseband processor. The proposed processor is composed of the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cedure (PLCP) processor and physical medium dependent (PMD) processor, which have been optimized to have low-power and reduced-complexity architecture. It was designed in a hardware description language (HDL) and synthesized to gate-level circuits using 0.18um CMOS standard cell library. As a result, the proposed TX-PLCP processor reduced the power consumption by as much as 81% over the bit-level operation architecture. Also, the proposed MIMO symbol detector reduced the hardware complexity by 18% over the conventional SQRD-based architecture with division circuits and square root opera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IEEE 802.11 Task Group n, "Draft Amend ment-Part II: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Enhancements for Higher Throughput," Mar. 2006
  2. W. Sun, "Maximizing MIMO effectiveness by multiplying WLAN radios", www.atheros.com
  3. A. P. Chandrakasan and R.W. Brodersen,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Digital CMOS Circuits," Proceedings of the IEEE, Vol.83, No.4, Apr. 1995
  4. S. Noh, Y. Jung, S. Lee and J. Kim, "Low-Complexity Symbol Detector for MIMO-OFDM Based Wireless LANs," IEEE Trans. Circuits Syst. II, Vol.53, No.12, pp.1403-1407, Dec. 2006
  5. P. W. Wolniansky, G. J. Foschini, G. D. Golden and R. A. Valenzuela, "V-BLAST: an architecture for realizing very high data rates over the rich-scattering wireless channel," in Proc. ISSSE, 1998
  6. D. Wubben, R. Bohnke, J. Rinas, V. Kuhn, K. D. Kammeyer, "Efficient algorithm for decoding layered space-time codes," IEE Electron. Lett., Vol.37, No.22, pp.1348-1350, Oct. 2001 https://doi.org/10.1049/el:20010899
  7. V. Tarokh, H. Jafarkhani, and A. R. Calderbank, "Space-time block codes from orthogonal designs," IEEE Trans. Inform. Theory, Vol.45, No.5, pp.1456-1467, Jul. 1999 https://doi.org/10.1109/18.771146
  8. E. Cavus, B. Daneshrad, "A computationally efficient algorithm for space-time block decoding," in Proc. ICC, Vol.4, pp.1157-1162, Jun. 2001
  9. F. Tosato, P. Bisaglia, "Simplified soft-output demapper for binary interleaved COFDM with application to HIPERLAN/2," in Proc. ICC, vol.2, pp.664-668, May 2002
  10. A. Adjoudani et al, "Prototype experience for MIMO BLAST over third-generation wireless system," IEEE J. on Selected Areas in Comm., Vol.21, No.3, Apr.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