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환경분야 국가직무체계 개발 연구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falls in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kill system in environmental field. The jobs were classified by the commonly used terms in the field. Consequently there are three large groups, twelve middle groups which again narrow down to smaller jobs according to the relevant characteristics of each job in the group, and forty one jobs in total in the area. Six levels were identified for the definition of job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level by reflecting job levels by expertise.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field, job levels were also defined in accordance with each area such as 'environment plan and assessment', 'measurement and analysis of environment', 'environment management', 'environment design and construction', 'environment health management', 'environment resources management', 'environment management and consulting', and 'environment education'. Based on these classification, the definitions of jobs and the standards of performances by jobs and levels were resulted in through a consultation consisting of experts in the environment industry and academy.

이 연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에서 기초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하는 직무체계 중 환경분야 직무체계 개발에 목적이 있다. 세부적인 연구목적은 환경분야의 직무분류와 직무수준을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통용되는 용어를 중심으로 직무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직무는 배타적으로 설계하였습니다. 직무분류시 전문가 집중토의를 통하여 세부직무를 분류하였습니다. 이러한 분류결과를 살펴보면 환경 분야의 직무군은 크게 대분류 3개, 중분류는 12개, 이들 중분류를 다시 분류하면 총 41개의 직무가 환경분야에서 요구되는 직무로서 도출되었다. 환경분야 직무수준은 해당 직무군 및 직무분야에서 전문 인력의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성 정도를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환경분야의 전문분야별 직무수준을 반영하여 6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경 분야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크게 '환경계획 및 평가'와 '환경 측정 분석', '환경관리', '환경설계 시공', '환경보건관리', '환경자원관리', '환경경영 및 컨설팅', '환경교육'으로 구분하여 직무수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환경 분야 현장전문가 및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각 직무별 정의와 직무별 수준별 수행기준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수. 이병남. 정은재. 전대욱(1995). 지방자치와 환경기술인력의 수급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 나영선. 박종성(2002). 환경기술인력 육성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박종성.주인중(2006) 국가직무능력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2006) -직무체계 시안개발 : 환경분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조정윤. 박종성. 김현수(1998). 국가기술자격이외의 국가자격취득자에 대한 학점인정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조정윤.박종성(2004). 국가자격체계 구축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산업교육학회
  6. 한기주(2001). 우리 나라 환경 산업의 현황과 전망. 서울: 한국환경정책학회
  7. 한상근.박재민.전용석.박종성.김나라(2003). 직업변동에 관한 연구 -환경산업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허재준(1996). 프랑스의 직업교육제도. KLI 노동 연구 속보, 제62호. 한국노동연구원
  9. 허재준(1996). 프랑스의 직업교육제도. KLI 노동 연 구 속보, 제62호. 한국노동연구원
  10. 환경정의(2006). '환경분야 사회적일자리 창출방안 연 구보고서'
  11. Anneke Westerhuis(2001). European Structures of Qualification Levels(Volume 2). CEDEFOP
  12. AQF Advisory Board(2002). Australian Qualifications Framework: Implementation Handbook.
  13. EBI(1996). The Global Environmental Industry: A Market and Needs Assessment
  14. OECD(1996a). The Global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dustry
  15. OECD(1996b). Interim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16. OECD(1999). The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dustry: Manual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17. http://www.ebi.ac.uk
  18. http:/www.epa.gov
  19. http:/www.oecd.org
  20. http://www.qca.org.uk/nq/leaflet/nq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