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 of Statistical Independence Based on Intuitions Classified by Fischbein

Fischbein의 직관에 기초한 독립성에 관한 확률지도

  • Cho, Cha-Mi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Intuitions in independence formed by common language help and also hinder the establishment of new conceptual system about independence as a mathematical term. Intuitions which entail such conflicts can be a driving force in explaining independence but at the same time, it is the impedimental factor causing a misconceptio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help students use the intuitions properly by distinguishing helpful intuitions and impedimental intuitions. This paper suggests that we need to reveal in teaching the misconception resulting not from mathematic but from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independence. This paper points out the need for the clear distinction of independence of trials and independence of events and gives an counterexample of the case that sampling with and without replacement shouldn't be specifi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independence and dependence of events. The analysis of intuition in this parer is based on intuitions classified by Fischbein and this paper analyzed institutions applied to the concept of independence corresponding intuitions classified by Fischbein.

일상어로서의 언어적 개념에 의해 형성된 독립에 대한 직관은 수학에서의 독립성에 대한 새로운 개념체계를 확립하는 데 있어 도움을 주거나 방해를 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갈등을 동반하는 직관은 독립성을 설명을 설명하는데 원동력이 되기도 하나 때로는 오개념을 유발하는 장애요인이기도 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원동력이 되는 직관과 장애가 되는 직관을 구분하여 학생들이 직관을 바르게 사용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로써 독립의 언어적 해석의 개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잘못된 직관에 의한 오개념을 오히려 드러내어 가르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행의 독립성과 사건의 독립성의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으며, 복원추출과 비복원 추출이 사건의 독립과 종속의 대표적인 예로 특정화되어서는 안 되는 것을 반례를 통해 보였다. 본 논문에서의 직관의 분석은 Fischbein이 분류한 직관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독립성의 개념에 적용되는 직관을 구체적으로 Fischbein의 직관과 대응시켜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