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Changes of Coastal Lagoons during the 20th Century in the Middle East Coast, South Korea

한국 중부 동해안 석호의 20세기 경관 변화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 박충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김효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문영롱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Published : 2008.09.30

Abstract

Coastal lagoon has experienced a natural geomorphic development process which has been aggraded after the climax of transgression in Holocene. This study estimates superiority on landscape conservation of lagoons and degree of landscape changes during the 20th century as conservation ratios of area and shore length, and analyzes the causes of the changes and classifies the lagoons based on the data by case study of the major 7 coastal lagoons(Hwajinpo, Songjiho, Gwangpoho, Yeongrangho, Maeho, Hyangho, and Gyeongpoho) in the middl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Based on the conservation ratios of area and shore length, the areal change is in order of Songjiho($0.56km^2$, 92%), Hwajinpo($2.06km^2$, 90%), Yeongrangho($0.96km^2$, 86%), Hyangho($0.32km^2$, 76%), Gyeongpoho($0.90km^2$, 52%), Maeho($0.14km^2$, 50%), and Gwangpoho($0.07km^2$, 32%), and the shore length change is in order of Hwajinpo(11.90km, 100%), Hyangho(3.34km, 90%), Yeongnangho(7.21km, 89%), Gyeongpoho(7.11km, 79%), Songjiho(5.56km, 79%), Gwangpoho(1.16km, 62%), and Maeho(2.16km, 58%).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changes of the lagoons in the study area can be represented in order of Hwajinpo(Al), Hyangho(A2), Yeongrangho(A3), Songjiho(A4), Gyeongpoho(B4), Gwangpoho(B5), Maeho(B6). Serious process for land use and industrial development has changed landscape around lagoons decreasing the area of coastal plains dramatically up to this century. Because small lagoons such as Maeho and Gwangpoho have experienced severe transformation and destruction, and Gyeongpoho was transformed into artificial lake for urbanization and tourism, they show dramatic landscape change.

석호는 홀로세 해진극상기 이후 지속적으로 매적되어가는 자연스러운 지형발달과정을 겪는다. 한반도 중부 동해안의 대표적인 7개 석호인 화진포, 송지호, 광포호, 영랑호, 매호 향호, 경포호를 대상으로, 석호 지형 경관 보존의 우수성과 20세기 동안 석호 경관 변화 정도를 석호 면적과 호안길이 보존율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석호를 분류하고 경관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면적은 송지호($0.56km^2$, 92%), 화진포($2.06km^2$, 90%), 영랑호(0.96km, 86%), 향호($0.32km^2$, 76%), 경포호($0.90km^2$, 52%), 매호($0.14km^2$, 50%), 광포호($0.07km^2$, 32%) 순으로, 호안길이는 화진포(11.90km, 100%), 향호(3.34km, 90%), 영랑호(7.21km, 89%), 경포호(7.11km,79%), 송지호(5.56km,79%), 광포호(1.16km, 62%), 매호(2.16km, 58%) 순의 경관보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20세기 동해안 석호의 경관 변화 특징은 화진포(Al), 향호(A2), 영랑호(A3), 송지호(A4)는 보존이 잘 되었으나, 경포호(B4), 광포호(B5), 매호(B6)는 크게 축소되었다. 금세기에 이르러 경지확대를 위한 매립과 개발사업이 심각하게 진행되면서 석호면적은 크게 축소되고 경관이 변하였다. 경포호, 매호, 광포호는 경관 변화가 컸는데, 특히 매호, 광포호와 같이 소규모 석호일수록 변형과 파괴가 심하였고, 경포호는 도시화와 관광산업을 위해 인공호수로 바뀌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병관. 김원형, 1981, '동해안 석호퇴적환경에 관한 연 구, ' 지질학회지, 17, 241-249
  2. 엄정훈, 1998, 동해안 석호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과 주변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오건환, 1970, '경호의 지형학적 연구, ' 강릉교육대학 논문집, 2, 163-173
  4. 원주지방환경청, 2008, 동해안 석호보전 및 복원을 위한 생 태계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5. 윤순옥, 1998, '강릉 운산충적평야의 홀로세 후기의 환경변 화와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3(2), 127-142
  6. 윤순옥. 박한산, 2002a,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송 지호, 쌍호,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7. 윤순옥. 박한산, 2002b, '전국 내륙습지 자연환경조사: 매 호, 향호,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8.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2006,' 한반도 동해안의 자연호 분포와 지형 환경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2, 449-460
  9. 장정희. 김준민, 1982, '영랑호, 월함지 및 방어진의 제4기 이후의 식피의 변천, ' Korean Journal of Botany, 25, 37-53
  10. 조화룡, 1987, 한국의 충적평야, p.219
  11. 황상일. 윤순옥, 2002, '울산시 황성동 세죽 해안의 Holocene 중기 환경변화와 인간생활,' 한국고고학보, 48, 35-57
  12. Toshiyuki, F. and Yoshinori, Y., 2004, Vegetation history during the Holocene from Lake Hyangho, northeastern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123-125, 63-69. https://doi.org/10.1016/j.quaint.2004.0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