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Korean Peninsula Warming Based on Appearance Trend of Tropical Dinoflagellate Species, Genus Ornithocercus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 속 와편모조의 출현 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 Kim, Hyeung-Sin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 Cheju National University) ;
  • Jung, Min-Min (Marine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NFRDI)) ;
  • Lee, Joon-Baek (College of Ocean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김형신 (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 정민민 (국립수산과학원 종보존연구센터) ;
  • 이준백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 Published : 2008.11.30

Abstract

We investigated about change of dinoflagellate composition during October 2006 to November 2007 at the Chagwi-Do, west-part of Jeju Island. There were 32 dinoflagellate species in collected samples and 19 species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of collected dinoflagellate species were rare and unrecorded species from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quantities by month of these tropical oceanic species, Ornithocercus were 28, 22, 0, 3 and $502\;cells/m^3$ in October 2006, February, April, September and November 2007 respectively. The abundance of genus Ornithocercus for whole dinoflagellate species were 8, 3.9, 0, 0.2 and 97.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ast of Korean Peninsula is getting warm by global warming.

제주도 서부해역인 차귀도 연안 해역에서 2006년 10월부터 2007년 11월 사이 5회에 걸쳐 식물 플랑크톤의 일종인 와편모조의 종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총 32종의 와편모조가 관찰되었다. 이들 와편모조 중 19종 즉, Amphisolenia bidentata, Ceratium gravidum, C. hexacanthum, C. platycorne, C. praelongum, C. ranipes, C. reflexum, C. geniculatum, Dissodinium elegans, D. bicorne, Ornithocercus heteroporus, O. magnificus, O. quadratus, O. splendidus, O. steinii, Protoperidinium excentricum, Pseliodinium vaubanii, Ptychodiscus noctiluca, Pyrocystis hamulus 등의 종은 한국 연안 해역에서는 매우 드물게 출현이 보고된 종이거나 미기록 종이었다. 그리고 채집된 시료에서 열대 해역 지표종인 Ornithocercus 속의 월별 단위체적당 출현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 10월, 2007년 2, 4, 9 및 11월에 각각 28, 22, 0, 3 및 $502\;cells/m^3$이었다. 또한 월별 총 와편모조류 출현량에 대한 Ornithocercus 속의 점유율은 각각 8, 3.9, 0, 0.2 및 97.9%로 2007년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에 발맞추어 한반도 연안 해역 역시 온난화 되어지고 있음을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성기, 최철만, 2003.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2: 725-733
  2. 방익찬, 오임상, 1995. 해수면변화와 해저지형에 의한 난류수의 순환과 그 기원. 한국수산학회지, 28: 677-697
  3.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 172-186
  4. 장승민, 김성수, 최영찬, 김수강, 2006. 제주도 기온과 주변해역 해수면 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 55-62
  5.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연구. 환경생물학회지, 12: 137-150
  6. 조창환, 1986. 한국 연안해역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및 분포양상, 1930년대-1980년대. 한국조류학회지, 1: 135-143
  7. 좌종헌, 이준백, 2000. 제주도 문섬 산호서식지 주변의 생물생태학적 특성 I.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한국해양학회지, 5: 59-69
  8. Gomez, F., 2005. A list of free-living dinoflagellate species in the world's oceans. Acta Bot. Croat., 64: 129-212
  9. Hallegraeff, G.M. and S.W. Jeffrey, 1984. Tropical phytoplankton species and pigments of continental shelf waters of North and North-West Australia. Mar. Ecol. Prog. Ser., 20: 59-74 https://doi.org/10.3354/meps020059
  10. Shim, J.H. and W.H. Lee, 1983. Plankton study in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I)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September, 1981-. J. Oceanologi. Soc. Korea, 18: 91-103
  11. Taylor, F.J.R., 1971.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hecae of the dinoflagellate genus Ornithocercus. J. Phycol., 7: 249-258
  12. 藤岡城, 1990. 黑潮のプランクトン鑑─奄美大島篇─. 長崎出版文化協會. 170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