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체 정규직 / 비정규직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of Distribution Companies

  • 이희필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
  • 김홍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 Lee, Hee-Phil (Department of Entrepreneurship, The Graduate of Global Enterpreneurship, Hoseo University) ;
  • Kim, Hong (The Graduate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Hoseo University)
  • 발행 : 2008.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차별적 처우에 대한 실태를 조사 및 분석한 후 차별적 처우가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서울지역 유통업체에 종사하는 정규 비정규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접 또는 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플 배포하여 회수된 195부의 설문지(결측치 제외)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에 따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중에서 고용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 요인은 인간관계 만족도와 규범적 몰입도로 비정규직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직무환경만족도, 직무내용만족도, 인사정책만족도, 지속적 몰입도, 정서적 몰입 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에 별 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환경요인(소득, 고용안정성, 근로조건, 기업복지)이 진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서는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모든 고용형태에서 지속적 몰입 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복지, 소득 등이 향상되어야 하며, 정서적 몰입 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복지, 고용안정성의 상향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규범적 몰입도 향상을 위해서는 기업복지, 소득, 근로조건, 고용안정성의 모든 요인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discriminative treatment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 and find what kind of environment factors can effect on the job-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Especially, this study has addressed to improvement of conditions for irregular work and researched the difference factor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s job-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loyment - environmental. For the data collection,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survey, 195 responses were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distribution companies that has a variety type of employment as regular and irregular worker in Seoul province by e-mail and direct way. And SPSS 12.0(ver.)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ain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human relationship and the normative commitmen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 in the par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ncome were importa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job environment and personnel policy and the normative commitment. Corporation welfare were important for the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hip, job environment and personnel policy, normative commitment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ous commitment. Stability of employment were importa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human relationship and job environment, normativ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