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강암 암반의 암질에 따른 동탄성 특성치에 관한 연구(경기, 경남지역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ynamic Elastic Modulus in Granite

  • 발행 : 2008.10.31

초록

최근 국내에서도 일정 규모이상의 구조물과 건축물에 대한 내진설계가 필수적으로 되어 가고 있지만, 연구자료의 부족으로 외국문헌에서 인용 또는 참고하고 있어 실제 측정한 자료와 비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외국문헌의 값은 우리나라의 지질특성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화강암지대의 암질별 탄성파속도($V_p,\;V_s$)의 특성 및 동적특성치($E_d,\;G_d\;K_d$)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국내 지질특성에 적합한 동적특성치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an earthquake-resistant has become essential to the large-scale structures at Gyeonggi and Gyeongsangnam province in Korea, but it is generally compared the measured data with foreign references because of the lack of the research data. It will be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uitable dynamic elastic modulus in Korean geology, which characteristics are characterized the seismic wave velocities($V_p,\;V_s$) and correlation with dynamic elastic modulus($E_d,\;G_d\;K_d$) by each rock type of Korean granite, because it is very different between the values of foreign references and Korean geological characteristic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충화 외, 2002, 시추공 물리탐사를 이용한 동탄성계수와 암상과의 상관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507-513
  2. 손호웅 외, 2000, 지반환경물리탐사, 시그마프레스, 22-29
  3. 송무영 외, 2002, 시추공 물리탐사를 통한 지반물성과 암 상과의 상관성 분석, 대학지질공학회지, 12(2), 127-135
  4. 민경덕 외, 1987,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660-665
  5. 이벽규, 2004, 암반분류별 동탄성계수 특성 연구, 공학석사 학위논문,서울시립대학교
  6. 한국암반공학회 외, 1999, 건설기술자를 위한 지반조사 및 시험기술, 799
  7. 한국지반공학회, 2000, 토목기술자를 위한 암반공학, 구미 서관, 216-270
  8. Yoshikazu, K. et al., 1997,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geophysical prospecting and geotechnical properties, Soil and Foundations,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45(9), Ser. No. 476, 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