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cial Distributions of Water Quality and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시공간적 수질분포 및 오염물질 제거효율 평가

  • Choi, Don-Hyeok (Sihwa Lake Environmental Management Center,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Choi, Kwang-So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Dong-Sup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im, Sea-Wo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Choi, Dong-Ho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umho Engineering & Construction) ;
  • Hwang, In-Seo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Lee, Yun-Kyoung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 Kang, Ho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최돈혁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환경관리센터) ;
  • 최광순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김동섭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최동호 (금호건설 기술연구소) ;
  • 황인서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윤경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강호 (충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8.10.31

Abstract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and clarify the cause of low removal efficiency of the wetland, temporal and spacial distributions of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at 16 sites in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The removal efficienc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wetland, except for TN. In addition, the efficiency was largely varied with season, especially BOD and TP. No removal efficiency of BOD was observed in April and July when algal bloom was occurred in lower part open water of the wetland. On the other hand, TP showed no removal efficiency from April to August showing -291% of removal efficiency in August. From the horizontal distribution in closed water regions, SS concentration for the centr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or left and right areas(p = 0.013, center > left > right area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fer that anaerobic condition due to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s and lack of uniformity of water flow distribution are major factors of the low removal efficiency of the wetland.

시화호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평가하고 수질정화기능의 저하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습지내 16개 지점에서 시공간적 수질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TN을 제외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조성 초기에 비해 낮아졌으며, 계절변동 또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OD와 TP의 평균 제거효율이 각각 12.3%, -44.5%로 낮고, TN과 SS에 비해 계절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BOD의 제거효율은 습지 하류부에서 식물플랑크톤이 대량 증식하였던 4월과 7월에 처리효율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TP의 경우는 4월부터 8월까지 제거효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온이 가장 높았던 8월에 -291%를 나타냈다. 폐쇄수역에서 SS 농도분포는 좌안과 우안에 비해 중앙지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NOVA test로부터 수평적으로 유의적인 차이(p = 0.013, 중앙 > 좌안 > 우안)를 보였다. 시화호 인공습지에서 오염물질 제거효율의 저하원인은 과도한 유기물 생산에 의한 습지의 혐기성환경과 이에 따른 습지 하류부에서 용출된 인과 대량 증식한 식물플랑크톤이 균등하지 못한 물 흐름에 의해 식생대를 거치지 않고 유출되었기 때문으로 유추된다.

Keywords

References

  1. EPA, 'Design Manual; Constructed Wetlands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s,' U.S. EPA 625/R'99/010, Cincinnati, Ohio, pp. 12-20(2000)
  2. 김도선, '인공습지를 이용한 군부대 오수 정화 효율성,' 자연보존, 105, 29-34(1993)
  3. 이병헌, 이남희, '부레옥잠을 이용한 돈사폐수의 처리,' J. Korea Soc. Water & Waste Water Treatment Technol., 2(2), 29-38(1994)
  4. 전만식, '부레옥잠을 이용한 수중의 영양염 제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1994)
  5. 안윤주, 공동수, '생이가래를 이용한 영양물질의 제거방안,' 대한환경공학회지, 17(6), 193-203(1995)
  6. 윤춘경, 권순국, 우선호, 권태영, '농촌지역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실험시설의 3년간 실험결과 검토,' 한국물환경학회지, 15(4), 581-589(1999)
  7.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농업용수 수질개선을 위한 인공습지 설계관리 요령,'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안산(2004)
  8. 관계부처합동, '물관리 종합대책의 추진강화를 위한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국무조정실, 행정자치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환경부, 건설교통부, 산림부(2004)
  9. Reddy, K. R. and DeBusk, T. A., 'State'of'the'art utilisation of aquatic plants in water pollution control,' Water Sci. Technol., 19(10), 61-79(1987)
  10. Moshiri, G. A.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RC Press Inc., Lewis Publishers, London, pp. 35-58(1993)
  11. Song, K. Y., Zoh, K. D., and Kang, H., 'Release of phosphate in a wetland by changes in hydrological regime,' Sci. Tot. Environ., 380, 13-18(2007)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06.11.035
  12. 강호정, 송근예, '인공습지를 이용한 수처리 효율 및 향후 연구제언,' 한국습지학회지, 6(2), 57-63(2004)
  13. Nakamaura, K., Chiba, T., Sato, K., Morita, Y., Hosomi, M., Tanaka, S., 'A survey of construction wetlands in Japan,' in Proceeding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tland system for water pollution control, 1, pp. 1128-1132(2002)
  14. 최지용, 반양진, 저수지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인공습지의 효과 및 개선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 pp. 112(2007)
  15.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 인공습지 수질조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안산, pp. 53-64(2007)
  16. Lorenzen, C. J.,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eopigments: spectrophotometric equation,' Limnol. Oceanogr., 12, 343-346(1967) https://doi.org/10.4319/lo.1967.12.2.0343
  17. 환경부, 수질공정시험법, 환경부(1999)
  18. Forsberg, C., Ryding, S. O.,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s,' Arch. fur. Hydrobiol., 89, 189-207(1980)
  19. Horne, A. J., Goldman, C. R.,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pp. 115-132(1994)
  20. 한국수자원공사, 시화호 인공습지 수질정화기능 향상연구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안산, pp. 157-223(2006)
  21. 최동호, 최광순, 김세원, 오영택, 김동섭, 조성주, 박제철, '시화호 인공습지의 물흐름 분포 및 입자성물질 퇴적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9(4), 425-437(2007)
  22. Sondergaard, M., Schierup, H. H., 'Dissolved organic carbon during a spring diatom bloom in Lake Mosso, Denmark,' Water Res., 16, 815-821(1982) https://doi.org/10.1016/0043-1354(82)90010-0
  23. Wetzel, R.G., Limnology, 3th ed., Academic Press, New York, pp. 187-204(2001)
  24. 최광순, 황길순, 김동섭, 김세원, 김호준, 조성주, 박제철, '수질정화용 인공습지 개방수역에서 유입수질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특성 및 유기물생산력,'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0(1), 61-71(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