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지역의 황사/비황사시 PM$_{2.5}$, PM$_{10}$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PM$_{10}$ Concentration at Asian and Non-Asian Dust in Asan Area

  • 정진도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 황승민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보건환경학과) ;
  • 최희석 (호서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Chung, Jin-D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 Hwang, Seung-Min (Department of Health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Venture, Hoseo University) ;
  • Choi, Hee-Seok (A Graduate student at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발행 : 2008.11.30

초록

아산 호서대 지역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PM$_{2.5}$와 PM$_{10}$의 이온성분과 중금속성분 분석을 통해 농도 특성을 분석하고 황사 발생에 따른 농도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황사시 미세먼지의 입경별 평균농도는 비황사시에 비해 큰 증가를 보였으나, PM$_{2.5}$ 비율은 79.7%에서 40.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2.1 $\mu$m를 기준으로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로 구분하여 질량농도를 분석한 결과 황사시 조대 입자가 크게 증가하여 PM$_{2.5}$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황사시 이온 성분 농도의 변화는 미세입자 영역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대입자 영역에서는 Ca$^{2+}$이온이 약 40배 정도 증가하였고 Na$^+$, SO$_4{^{2-}}$이온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금속 성분의 분석 결과 황사시 Mn, Fe, Zn, Al 순으로 증가폭이 컸으나 질량농도로 보았을 때 Al이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다.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and PM$_{10}$ concentration is considered by analysis of ionic and heavy metal component to measured suspended particle at atmosphere in Hoseo university of Asan area.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is studied at the periods of asian dust occured. In asian dust, the PM$_{2.5}$ ratio is decreased from 79.7% to 40.1%, whereas the size-classified mean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le is increased largely. It is found that the PM$_{2.5}$ ratio is decreased relatively because the coarse particle is increased large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mass concentration to divide the fine and coarse particle on 2.1 $\mu$m basis. It is observed that the Ca$^{2+}$ion is about 40 magnifications and Na$^+$, SO$_4{^{2-}}$ ion is increased in sequence in coarse particle, whereas the variation of ionic concentration is slightly increased in the fine particle. Furthermore, Mn, Fe, Zn, and Al are increased in sequence as the result of heavy metal component analysis, and Al is shown the most increased as mass concent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Chung, Y. S. and Yoon, M. B., "On the accurrence of yellow sand and atmospheric loadings," Atmos. Environ., 30, 2387-2397(1996) https://doi.org/10.1016/1352-2310(95)00251-0
  2. Xiao, Y. Z., "A core project of the international geospherebioshere programme," pp. 6-10(1998)
  3. U.S. EPA., National Air Quality and Emissions Trends Report, EPA-454/r-97-013, OAQPS, Research Triangle Park, NC 27711(1996)
  4. 전병일, "2002년 부산지역 봄철 황사/비황사시 PM10중 의 중금속 농도 특성," 환경영향평가, 12(2), 100-101(2003)
  5. 이용기, 김종찬, 최승석, 임흥빈, 최양희, 이수문, "황사 현상에 의한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7, 71-78(2002)
  6. 인희진, 이은희, 박순웅, "2002년 봄철에 관측된 황사사례에 대한 수치모의,"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pp. 91-92(2002)
  7. 최희석, "아산지역에서 관측된 PM2.5, PM10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8)
  8. Nitta, H., Ichikawa, M., Sato, M., Konishi, S., and Ono, M., "A new approach based on a covariance structure model to source apportionment of indoor fine particles in Tokyo," Atmos. Environ., 28(4), 631-636(1994) https://doi.org/10.1016/1352-2310(94)9004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