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seas exhibition and organization of Korean exhibition room in foreign museum.

해외 전시와 외국 박물관의 한국실 설치-그리스 특별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호섭 (고려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Among many functions of the museum, the educational function is being emphasized. Museums should actively expand their scope of action through special exhibits 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through exhibits that museums prove their reason for existence and raise calls for support. Through such activities, university museums should demonstrate the role and reason of existence of a museum inside a university to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They should carry out various activities to raise the presence of the museum in the university. That may be the way for university museums, which face many difficulties in reality, to find their breakthrough. Especially in a situation of a low-budget, holding overseas exhibition may be a good opportunity to display the excellence of the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publicize the school and the museum. Also, through such overseas exhibition, benchmarking of facilities and activities of advanced museums can be made and networks can be set up with museums around the world. This paper introduces the planning and progressing procedures of exhibitions abroad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Korea University Museum. I sincerely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hereafter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Aside from such overseas exhibition, the Korea Foundation has been supporting prestigious foreign museums to establish a Korean exhibition room in order to form a perpetual space to systematically introduce Korean culture and art to foreign audience. Thus fa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has stood in the forefront in lending relics to Korean exhibition rooms abroad. I believe it would be a worthwhile activity for the Korea Association of University Museums, which has approximately 100 institutions as its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xhibitions rooms of foreign museum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museums. Particip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exhibition rooms is attractive as it will lead to a constant exchange with foreign museums instead of a one-time exchange.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which became a big issue about ten years ago, is reality from which university museums cannot be free. In such reality, it is time for university museums to look back on whether they are ready to make their way forward in this era 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이 강조되고 있다. 박물관은 특별전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그 활동영역을 넓혀나가야 한다. 박물관은 전시회를 통해 존재의 이유를 증명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호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대학박물관은 대학 내의 박물관의 역할과 존재의 이유를 대학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대학 내의 박물관의 위상을 높여나가야 한다. 그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대학박물관이 제자리를 찾는 길일 수도 있다. 특히 예산이 어려운 상황에서 해외로 눈을 돌려보는 것도 학교와 박물관을 홍보하고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해외에 홍보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해외 전시를 통해 선진 박물관들의 시설, 활동 등 다양한 부분에서 벤치마킹을 할 수 있고, 세계 여러 나라 박물관들과 교류함으로써 박물관 학예업무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만들어 향후 국제적인 활동에도 활용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사례를 통해 해외 전시의 기획과 진행에 대하여 소개하여 향후 대학박물관의 활동영역의 개척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해외 전시 이외에도 한국국제교류재단은 그동안 해외에 한국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알리는 항구적인 공간을 마련하고자 해외 유수 박물관을 대상으로 한국실 설치를 지원해오고 있다. 그동안한국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하는 한국실 설치에는 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유물대여에 앞장서 왔다. 100여개의 기관을 회원으로 보유하고 있는 한국대학박물관협회가 소장품을 대여하여 외국박물관의 한국실 설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도 대학박물관 발전을 위해 추진해 봄 직한 일로 생각된다. 이렇듯 한국실 설치에도 관심을 가지는 것은 외국의 박물관과의 일회성의 교류가 아닌 지속성을 지닐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인 요소가 아닐 듯싶다. 십여 년 전부터 이슈화되고 있는 지역화, 세계화 문제는 대학박물관이라고 예외일 수없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대학박물관도 문화의 세기라고 하는 이 시대를 헤쳐 나갈 준비를 하고 있는가를 되돌아보아야 할 시점인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