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ro-minera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y of Fault Material in Phyllitic Rock Tunnel

천매암 터널 단층물질의 암석.광물학적 및 역학적 특성

  • Lee, Kyoung-Mi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ng-Ho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eo, Yong-Seok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Yong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Dept.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
  • Kim, Kwang-Yoem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Dept. Geotechnical Engineering Research)
  • 이경미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성호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서용석 (충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창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연구부) ;
  • 김광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지반연구부)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Content, swelling, concentration, drainage of clay are critical factors that could control rock failures as well as discontinuous geological structures like faults and joints. Especially, the proportional components of clay minerals can be one of few direct indicators to a rock failure caused well by rainfall. Criticality of the role of clay mineral contents gets bigger in the slope and tunnel design. This study, using a horizontal boring core of pelitic/psammitic phyllite from the OO tunnel construction site, aims to investigate mineral composition changes related to fault distribution and their mechanical effects to the activity of these discontinuous layers (i.e., clay-filled fault layers), and eventually to define correlation among rock compositions, weathering products and rock instabilities. Field survey and lab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composition and strength index of fault clay minerals within the core samples and microscopic analysis of fresh and weathered rock samples.

암반에 발달하고 있는 단층이나 절리와 같은 불연속면뿐만 아니라 점토의 함량비, 팽창성 점토물질의 협재, 배수특성(drainage) 등은 암반의 붕괴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들이다. 특히 점토광물의 성분은 강우에 의한 암반붕괴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최근 사면이나 터널의 설계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니질천매암과 사질천매암이 호층을 이루고 있는 OO 터널의 선진시추코어(horizontal boring core)를 이용하여 단층발달에 따른 광물성분의 변화 및 이들이 불연속면의 역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암석 구성물질과 파생된 점토광물을 비교하여 암반의 불안정성을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시추코어 중에서 단층의 영향을 받은 구간과 비교적 신선한 구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박편을 제작하여 관찰하였고, 점토광물의 성분 및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야외조사와 실내 시험으로 단층물질의 강도정수를 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미원지질도폭, 198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이석훈, 정창식, 손병국, 임창복, 2000, 울산단층대 신기 단층 비지의 광물학적 특성 및 생성환경, 한국암석학회, 한국광물학회 2000년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3. 이창섭, 조태진, 이상배, 원경식, 2007, 제주도 한라산 조면암의 풍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 17(2), 235-251
  4. 정원석, 이승준, 나기창, 2002, 석영의 파동소광 강도를 이용한 청산화강암의 변형의 정량화
  5. 추창호, 장태우, 1999, 동래단층 비지(gouge)내 점토광물 의 특징과 형성환경, 한국광물학회, 한국암석학회 1999년도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6. Grim, R. E. and Guven, N., 1978, Bentonites: Geology, Mineralogy, Properties and Use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56p
  7. Raymond, L. A., 1995, Petrology, Wm. C. Brown Publishers, 47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