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Group Size for Learners' Active Online Discussions

온라인 토론 활성화를 위한 집단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oth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message types in online discussions according to group size. The research site was an elective course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a cyber university. The course provided students with a whole class discussion twice and then, a small group discussion consisting of around ten students twice. The study analyzed all of the messages, 1347, that learners posted and the frequency of reading messages in the four online discussions. One of the major findings showed the frequency of reading and writing a message in a small group discussion was rapid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whole class discussions(t=-2.65, p<.01, t=-4.41, p<.01). The other important finding revealed that almost half of the messages in the whole class discussions were related with the cognitive message type while the most messages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related with the social interaction type. Regarding the frequency of message types between the whole class discussions and the small group discussions, cognitive messages decreased significantly and both interaction messages and social interaction messag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s. Especially,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messages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s. learners in the small group discussions exchanged the messages of self-introduction, encouragement of other learners' participation, final greeting, appreciation of discussion summary, and personal stories that they did not mention in the whole class discussions. These social interaction messages seem to have an influence in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s in online discussions. Thus, this study implies small group discussions can caus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s in online discussions by exchanging a type of social interaction messages.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의 온라인 토론에서 전체 집단 토론 방식과 무선적으로 할당된 소규모 집단 토론 방식에 따라 토론의 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와 함께 토론 메시지 유형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 사이버대학의 교육학부 선택과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총 네 번에 걸쳐 실시한 온라인 토론 중 처음 두 번은 전체 집단 토론이었고, 나머지 두 번의 토론은 10명 내외의 소규모 집단으로 진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토론방에 학습자들이 올린 전체 게시글 1,347개와 A 사이버대학의 LMS에 기록되어 있는 학습자들의 게시글 읽은 횟수이다. 연구 결과, 소집단 토론에서 학습자들이 토론 글을 읽고 쓴 횟수가 전체 집단 토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시지 내용 분석 결과, 전체 집단 토론에서는 인지적 내용의 메시지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 반면, 소집단 토론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메시지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메시지 유형별 집단 구성 방식 간의 양적 변화는 전체 집단 토론에 비해 소집단 토론에서 인지적 메시지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상호작용적 논평과 질의응답에 해당하는 메시지 유형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메시지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소집단 토론에서 학습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증가의 원인들로는 전체집단 토론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조별로 진행된 자기소개, 토론 참여에 대한 격려, 토론을 마치는 인사, 전체 토론 정리에 대한 감사의 글, 개인적인 사정 등의 내용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들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온라인 토론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집단 구성방식을 소집단으로 했을 때,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온라인 토론 참여에 영향을 미친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메시지들이 더욱 많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