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tary Value and Cryopreservation of the Isochrysis galbana used Shellfish Artificial Seed Production

패류 인공종묘 생산시 이용되는 Isochrysis galbana의 냉동보존 및 먹이효과

  • Kang, Kyoung-Ho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Hun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n, Seung-Jin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Han, Chan-Bae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Hae-Joong (Division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강경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김영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안승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한찬배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박해중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n the dietary value and cryopreservation of the marine microalga, Isochrysis galbana. Four cryoprotectants, di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EG), glycerol (Gly) and 1.2-propanedial (PD) were tested at the concentrations of 1.0, 1.5, 2.0, 2.5 and 3.0 M respectively. The highest survival rates were obtained with 1.5 and 2.0 M of four cryoprotectants yielding a survival rate of 80%. Cell concentration of $30\;{\times}\;10^4\;cell/ml$ at the initial point of the experiment was increased to $365\;{\times}\;10^4\;cell/ml$ in 1.5 M of dimethyl sulfoxide, $298\;{\times}\;10^4\;cell/ml$ in 1.5 M of ethylene glycol, $512\;{\times}\;10^4\;cell/ml$ in 1.5 M of glycerol, and $385\;{\times}\;10^4\;cell/ml$ in 1.5 M of 1.2-propanedial after five days, respectively. In dietary value experiment, survival rate and growt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sochrysis galbana의 냉동보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해동 후 생존율을 관찰한 결과 각 동해방지제의 1.5 M과 2 M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동해방지제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1 M, 2.5 M, 3 M 실험구에서 60%이상의 생존율을 보여 I. galbana의 경우 동해방지제 농도에 따라 생존율의 차이를 보였다. 냉동보존 후 세포 증식을 조사한 결과 dimethyl sulfoxide 1.5 M 실험구에서는 실험개시시 $30\;{\times}\;10^4\;cell/ml$이던 것이 3 일 후 $107\;{\times}\;10^4\;cell/ml$였고, 실험 종료시인 5 일 후에는 $365\;{\times}\;10^4\;cell/ml$로 증식되어 가장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Ethylene glycol 1.5 M 실험구에서는 실험개시시 $30\;{\times}\;10^4\;cell/ml$이던 것이 3 일 후 $96\;{\times}\;10^4\;cell/ml$였고, 실험종료시인 5 일 후에는 $298\;{\times}\;10^4\;cell/ml$로 증식되어 가장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Glycerol 1.5 M 실험구에서는 실험개시시 $30\;{\times}\;10^4\;cell/ml$이던 것이 3 일 후 $190\;{\times}\;10^4\;cell/ml$, 실험종료시인 5일 후에는 $512\;{\times}\;10^4$\;cell/ml로 증식되어 전 실험구 중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 및 증식률을 보였다. 1.2-propanedial 1.5 M 실험구에서는 실험개시시 $30\;{\times}\;10^4\;cell/ml$이던 것이 3 일 후 $138\;{\times}\;10^4\;cell/ml$였고, 실험종료시인 5 일 후에는 $385\;{\times}\;10^4\;cell/ml$로 증식되어 가장 높은 증식률을 보였다. 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