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iz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n Burrowing of Artificial Seedling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인공치패의 크기 및 환경조건이 잠입에 미치는 영향

  • 김병학 (국립수산과학원 남해특성화연구센터) ;
  • 신윤경 (국립수산과학원 남해특성화연구센터) ;
  • 최낙중 (국립수산과학원 남해특성화연구센터) ;
  • 오봉세 (국립수산과학원 제주수산연구소) ;
  • 손상규 (국립수산과학원) ;
  • 정춘구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 손태선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 강경호 (전남대학교 수산과학과)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influence of individual size, sediment, gain size,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air exposure on burrowing rate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biological data on applying shellfish farm for a sustainable production of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Schrenk). The burrowing rate on individual size 300 minutes after starting the experiment was the highest in the shell length $16.3\;{\pm}\;1.2\;mm$, 97.7%. The highest burrowing rates were 97.0% in $12.8\;{\pm}\;0.8\;mm$, 96.7% in $9.2\;{\pm}\;1.0\;mm$, and 96.3% in $5.9\;{\pm}\;0.7\;mm$. The clams over 6 mm of shell length had burrowing ability and the burrowing rate was not related to the shell size. The burrowing rate depending on the kind of grain at the bottom after 300 minutes was the highest, 98.3%, in the mixture of sand and silt with a ratio of 75:25. The rates were 98% in silt (100%), 97.3% in mixture sand and silt with a ratio of 50:50, 97.3% in sand and silt ratio of 25:75, and 86.3% in sand (100%) in this specific order. On grain size of the soil in the seafloor, the burrowing rates after 300 minutes was at its highest in the group of sand in pore size 1 mm with 85.0%, and the $12\;{\mu}m$ to 1 mm in the grain size was fitted to burrowing of artificial seed. In the case of water temperature, the burrowing rates were at its highest after 300 minutes. In $30^{\circ}C$ group, the rate was 96.7% and in $25^{\circ}C$ and $20^{\circ}C$, 90.0%. The rates decreased as the water temperature decreased below $15^{\circ}C$. The burrowing rates on salinity were the highest in 30 psu with 93.3% and at 15 psu and below, there was no noticeable change in the burrowing rate. On air exposure, the burrowing rates after 300 minutes were the highest in 1 hour with 93.3%, and remarkably decreased as air exposure time is longer after 12 hours of air exposure.

본 연구는 피조개 양식 산업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 양식현장에 바로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로서 인공치패를 대상으로 치패의 크기별, 저질 종류 및 입자 크기, 그리고 수온, 염분 및 공기노출에 따른 잠입 능력을 조사 하였다. 피조개 치패의 크기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 실험 개시 후 300분 경과 후 각장 $16.3\;{\pm}\;1.2\;mm$에서 97.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각장 $12.8\;{\pm}\;0.8\;mm$에서 97.0%, 각장 $9.2\;{\pm}\;1\;mm$에서 96.7%, 각장 $5.9\;{\pm}\;0.7\;mm$에서 96.3%로 치패의 크기에는 상관없이 각장 약 6 mm 이상이면 잠입이 가능하였다. 저질종류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에는 잠입률이 모래(75%) + 뻘 (25%) 에서 98.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뻘(100%) 에서 98.0%, 모래 (50%) + 뻘 (50%) 에서 97.3%, 모래 (25%) + 뻘 (75%) 에서 97.3%, 모래 (100%) 에서 86.3%순으로 나타났다. 입자크기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잠입률이 1 mm 모래에서 85.0%로 가장 높았고, $12\;{\mu}m$ 뻘에서 83.0%, 2 mm 모래에서 75.7%, 3 mm 모래에서 75.0%, 4 mm 모래에서 72.5%순으로 입자 크기는 1 mm 및 $12\;{\mu}m$ 뻘이 잠입에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기노출 시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1시간 노출구가 93.3%로 가장 높았고, 3시간 노출구 86.7%, 6시간 노출구 86.7%, 9시간 노출구 80.0%, 12시간 노출구 36.7%, 18시간 노출구 33.3% 및 24시간 노출구 30.0%로 노출시간이 길수록 잠입률이 낮았다. 수온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30^{\circ}C$에서 96.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25^{\circ}C$에서 90.0%, $20^{\circ}C$에서 90.0%, $15^{\circ}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