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holistic innovation policy: Cases of Finland and Korea

  • 발행 : 2007.09.30

초록

본 연구는 제3세대 혁신정책의 주요 특성으로 나타나는 총체적 혁신정책을 살펴보고 실제 구현되는 모습을 핀란드와 우리나라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양 국가 모두 혁신정책의 영역이 경제발전이라는 단선적인 목표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발전, 균형발전, 삶의 질 제고 등 사회 전반의 변화와 관련된 것으로 외연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기술혁신을 국정 운영의 중심에 두고, 인력, 교육, 지역 등 관련 정책을 새롭게 재배열하는 모습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참여정부 출범이후 과학기술중심사회 구축이 국정 과제로 등장하면서 제3세대 혁신 정책의 맹아적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 실제 구현 정도와 모습은 양 국가 간 차이가 있다. 핀란드는 북유럽 국가의 제도적 특성인 전형적인 코포라티즘의 전통으로 인해 전환의 장을 마련하고 추진하는 "공론의 장"을 활성화시켜 왔다. 정부의 지원 체계 또한 특정 부처의 개별 업무가 아니라 임무를 중심으로 공동의 프로그램과 수단을 개발 집행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 왔다. 우리나라는 혁신 정책의 개념은 앞서 있으나, 실제 정책을 추진하거나 일하는 방식은 아직도 발전국가 시대의 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전환 전반이 하향식으로 이루어지면서, 민간부문과 시민사회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전환을 시도하려는 다양한 노력이 아직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ory and application of holistic innovation policy in the 3rd generation innovation policy with cases of Finland and Korea. Innovation policy areas of both countries are expanding from simple goal of economic development to extensive goal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quality of life, balanced growth etc. Also administrative system changed in order to let technical innovation on the center of national operation and reorganized relation and structure of relative policies like manpower, education, region policy. Particularly, Korea is in embryo standing for S&T driven society since Noh's government.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embodiment degree and feature between both countries. Finland reinvigorate field of public opinion due to corporatism tradition as a Scandinavian institution. Government support system developed co-program and co-policy beyond territory of individual ministry to raise policy effectiveness. However, concept of the Korean innovation policy is ahead of the times but maintained framework of developing country. And there is no active participation of private sector and civil society because transition process accomplished on the top-down method, It could hardly progress toward transition in spite of various efforts to carry out a refor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