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감성과학)
- Volume 10 Issue 3
- /
- Pages.491-502
- /
- 2007
- /
- 1226-8593(pISSN)
- /
- 2383-613X(eISSN)
The Design.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Sauces by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장류제품의 디자인.마케팅 전략
- Lee, Yu-Ri (Dept. of Design Manufactu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Jong-Youl (Dept. of Industrial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ang-Jun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Categorization is very important for product design. Consumer's emotion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a type of categorization, so design concept and design elements must be combined differently with difference of the emotion. Specially, categorization process is necessary if nowadays product line is enlarged, and a product differentiation is not clear. That is, designers decide on correct categories and a design concept based on similarity of emotion and have to provide to consumer-oriented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gn direction for Korean traditional sauce products after extracting consumers' sensitivity from the whol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sauce and each images of the sauces-korean hot pepper paste, soybean paste, fermented soybeans paste, SsamJang, and soy sauce- and deciding categories of the each sauces based on the extracted sensitivities' similarity. I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knew that Korean traditional sauces didn't differentiate from consumers' preference images. In our empirical research, the research - emotional image survey on sauces - have conclusion that emotional image of "well-being", "tasty" have positive influence, but emotional image of "messy and dirty", "smelly" have negative influence. Therefore, we suggest that positive emotional images like "tasty" should be emphasized, but negative emotional images like "messy" should be eliminated for design and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traditional sauces. This research will suggest the guideline for product design with respect to academic aspects and working-level aspects.
범주화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이 다르며 이에 따라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 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류) 안에 유사한 하위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류는 선호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별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류에 대한 감성 이미지 조사에서, "웰빙의", "감칠맛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저분한", "냄새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장류제품을 개발할 때 "감칠맛 나는"과 같은 긍정적인 감성이미지는 부각시키고, "지저분한" 이미지와 같은 부정적인 감성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