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a Change of Hydrodynamic Environments due to the Port Developments in the Intertidal Zone

조간대 발달영역에서 개발에 따른 유동환경변화 해석

  • Jung, Jae-Hyu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Joong-Woo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eong, Young-Hwa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un, Sung-Hwa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Kang-Min (Port and Coastal Development Institute, Seil Engineering Co., Ltd.)
  • 정재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이중우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
  • 정영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전성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김강민 ((주)세일종합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under developing estuarial port Bupsung is bounded by a river and the sea, and has several well developed tidal lands, where the littoral drift is strong due to the tide and the river discharge. The study area is located at the inner part of a concave bay and has a large tidal range due to the water discharge through the Watan-chun and Junnam-dike. In beginning stage of the ocean physical impact study, the tidal modeling is very important and difficult especially in this area. Moreover, we need a model experiment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formulated model based on ocean survey.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numerical model to the Bupsung port coastal boundaries, which varies with the past and future development and made simulation with it. The result after development shows that there is a decrease of velocity on flood current and a increase on Ebb current and the minor variation of the tide level, compared with before development.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법성항은 하천과 바다의 경계구간인 하구항의 환경과 조석 및 하천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조간대가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지형적으로 만 내가 깊이 굴입되어 있고 인근에 위치한 와탄천과 전남방조제로 인한 유량에 의한 조위변동이 심한 지역이다. 해양물리적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단계에서 이러한 해역에서의 조석 수치모의 는 중요하며 또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구축된 모형은 해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검증단계를 거친 후에 실험을 수행해나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발과정 중인 법성항을 대상으로 하여 수치모형을 구축한 후, 과거 지형에 대한 예측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미래에 대한 예측작업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내만의 개발에 따라 개발 전과 비교하여 창조시 유속이 감소하고 낙조시 유속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강민, 이중우, 금동호, 전성환(2006), '부산북항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 및 해수교환 변화 모의',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0권 10호, pp. 861-867 https://doi.org/10.5394/KINPR.2006.30.10.861
  2. Mellor, G. L.(1998), 'User Guide for A Three-Dimensional', Primitive Equation, Numerical Ocean Model, Program in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Princeton University
  3. Pritchard, D., Hogg, A. J. and Roberts, W.(2002), 'Morphological modelling of intertidal mudflats: the role of cross-shore tidal currents'. Continental Shelf Research, 22, pp.1887-1895 https://doi.org/10.1016/S0278-4343(02)00044-4
  4. Stelling, G. S., Wiersma, A. K. and Willemse, J. B. T. M.(1986), 'Practical aspects of accurate tidal computation', J. of Hydraulic Eng., ASCE, Vol. 112, No. 9, pp.802-817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6)112:9(802)
  5. Falconer, R. A. and Owens, P. H.(987), 'Numerical simulation of flooding and drying in a depth-averaged tidal flow model', Proc. Ins. Civ. Eng., Part 2, Vol. 83, pp.161-180
  6. Flather, R. A. and Heaps, N. S.(1975), 'Tidal computaions for Morecambe Bay', Geophys. J. R. Astra. Soc., 42, pp.489-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