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 IX. Succession of Epilithic Diatoms on the Artificial Substrate and Factor Analysis

한강하류의 환경학적연구 - IX. 인공기질을 이용한 부착돌말류의 천이와 요인분석

  • 박성환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진환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7.03.01

Abstract

To study the succession of epilithic diatoms on the artificial substrate,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diatom assemblages biweekly from Mar. 2004 to Feb. 2005 at 2 station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A total of 60 taxa, representing 2 orders, 3 suborders, 8 families, 17 genera, 51 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were identified, and mean number of species were 19 species in spring, 20 in summer, 22 in autumn and 22 in winter. Standing crops of epilithic diatom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mean values of those were $3.2{\times}10^4$ cells $cm^{-2}$ in spring, $1.9{\times}10^4$ in summer, $1.7{\times}10^4$ in autumn and $1.8{\times}10^5$ in winter.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were also similarly showed as variations of the diatom assemblages. Succession of the diatoms in St. 1 was as follows; Melosira varians, Fragilaria capucina, Cyclotella comta, Nitzschia palea in spring, Fragilaria capucina in summer,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in autumn,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nd Melosira varians, Cymbella minuta in winter. In station 2, Aulacoseira granulata and Nitzschia palea dominated in spring as a pioneer in early stage of succession, Fragilaria capucina in summer, and Nitzschia palea in winter. According to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there showed similar to that of succession of epilithic diatoms within St. 1 and St. 2, and they were not changed by stations but seasons. Nitzschia palea belonged to saprophilous taxa correlated with nitrogen sources and suspended solids. Meanwhile, Fragilaria capucina and Cymbella minuta included in xenosaprobic taxa show correlation with DO and pH. Eurysaprobic taxa correlated with all environmental factors.

본 연구는 한강하류역에서 인공기질을 이용하여 부착돌말류의 계절적 천이를 규명하고, 환경요인과 부착돌말류의 관련성을 통계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2004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1년간 매 격주간격으로 2개 정점에서 환경요인과 부착돌말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수온은 전형적인 온대지방의 기후를 나타냈고, pH는 갈수기인 겨울철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기전도도, 질소, 인 등은 정점 간 차이를 보여 정점 2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규산염은 계절 및 정점 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BOD와 COD는 수질 3등급에 속하였다. 환경요인과 생물학적요인 및 우점종의 변화에 대한 조사 정점간의 차이를 변량 분석 (ANOVA)한 결과 환경요인에서는 정점 2에서 수질이 더 악화되었으나, 생물학적 요인에서는 전체 현존량의 변동별 구분은 나타나지 않았다. 돌말류는 60종류 2목 3아목 8과 17속 51종 7변종 2품종이 출현하였으며, 계절별로는 봄철에 19종류, 여름철에 20종류, 가을철에 22종류, 겨울철에 22종류로 변화폭이 크지 않았고, 정점 2보다 정점 1에서 다양하였다. 부착돌말류의 평균 현존량은 $2.3{\times}10^5\;cells\;cm^{-2}$$2{\sim}3$개월 간격으로 계절별 변화를 보였으며, 정점 1에서 더 높았다. Chlorophyll a의 농도는 $3.0{\sim}132.6\;mg\;m^{-2}$로 변화의 폭이 매우 컸으며, 부착돌말류의 착생초기인 봄철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우점종에 의한 부착돌말류는 정점 1에서 봄철에는 Me1osira varians(초봄) 및 Nitzschia palea(봄철), 여름에는 Fragilaria capucina, 가을철에는 Aulacoseira granulata var. angustissima(가을철), 겨울철에는 Melosira varians(겨울철) 및 Cymbella minuta(늦겨울)까지의 천이를 보였으며, 정점 2에서 봄철에 Aulacoseira granulata 및 Nitzschia palea에서 여름에 Fragilaria capucina, 겨울철에 다시 Nitzschia palea(겨울철)로 천이 계열을 형성하였다. CCA분석에서 환경요인에 따라 봄철, 가을철, 겨울철로 구분되었다. 이는 부착돌말류의 천이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돌말류의 종 조성 분포가 정점간의 차이가 아닌 계절에 따라 변하였다. 또한 호오염성군에 속하는 Nitrschia palea는 주로 질소원과 부유물질 등과 상관성을 가지며, 호청수성군에 속하는 Fragilaria capucina와 Cymbella minuta는 DO, pH 등과 상관성을, 광적응성군에 속하는 종들은 모든 환경요인들과 상관성을 보였다. 따라서 한강 하류의 부착돌말류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질을 가지고 있는 정점 1에서 다양한 생물상을, 탄천의 영향을 받는 정점 2는 상대적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호오염성 종들이 높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부착돌말류 중 Cymbella minuta는 다른 부착돌말류에 비해 강한 오염지표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훈. 1998 해수 중 인공기질표변에 대한 미세조류의 부착과 성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pp. 137
  2. 권오윤, 정승원, 이진환. �2006.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III. 한강하류역에서 식불플랑크톤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육수학회지. 39:340-351
  3. 김용재. 1999. 부착규조군집에 의한 포천천의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2:135-140
  4. 김용재. 2004. 한탄강의 돌 부착조류 군접의 시, 공간 동태. Algae. 19:15-22 https://doi.org/10.4490/ALGAE.2004.19.1.015
  5. 강지환, 이석준, 오희목. 2000 금강 부착조류 문집의 동태. Algae. 15:287-279
  6. 이경보, 김백호, 이덕배, 김재덕, 최민규 2000. 섬진강 수계수질과 부착조류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농학회지. 19:276-283
  7. 이정호, 김용재. 1996. 낙동강 수계 댐호의 부착규조 및 영양단계 평가. 환경생물. 14: 18-28
  8. 정승원, 이진환, 허회권. 2004.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I. 부영양화요인의 통계적 해석, 한국육수학회지. 37:78-86
  9. 정 준, 최재신, 이정호. 1993. 부착규조군집의 유기오탁 지수 (DAlpo)에 의한 금호강의 수질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26:165-178
  10. 최재신, 김한순, 강만도. 1998. 신천의 부착규조군집의 계절적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1:235-240
  11. 최철만, 박연규, 문성기. 2004. 인공기질 부착조류에 의한 대천의 수질평가 환경생물. 22:242-245
  12.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직의 년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141-149
  13. 한명수, 최영길, 김세화, 이 경, 유광일, 이후랑, 홍성수, 김영옥. 2002. 철원북방 DMZ 내의 중영양호 토교저수지의 생태학적 연구 5. 경안천(팔당호)과 토교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현존량과 Chlorophyll a의 계절 변동. 환경생물. 20:91-99
  14. AHPA, AWWA, WP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 Washington D.C., pp. 1100
  15. Antoine SE and K Benson-Evans. 1985. Colonisation rates of benthic algae on four different rock substrata in the River lthon, Mid Wales, U.K. Limnologica. 16:307-313
  16. Antoine SE and K Benson-Evans. 1986. The epipelic algal flora of the River Wye System, Wales, U.K. 21. Alpha phyla and species population dynamics. lnternationale Revue der gesamten Hydrobiologie. 71:813-839 https://doi.org/10.1002/iroh.19860710608
  17. Blinn DW, A Frederickson and V Korte. 1980. Colonisation rates and community structure of diatoms on tree different rock substrata in a lotic system. Br. phycol. J. 15:303-310 https://doi.org/10.1080/00071618000650311
  18. Choi JS and J Chung. 1990. An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epilithic diatoms of Namchun water system. Kor. J. Phycol. 5: 173-191
  19. Cholnoky BJ. 1968. Die Okologie der Diatomeen in Binnengewassern. pp. 699. Lehre (Cramer)
  20. Czarnecki DB and DW Blinn. 1978. Diatoms of the Colorado River in Grand Canyon National Park and vicinity. Bibl. Phycol. 38:1-182
  21. Dixit SS and JP Smol. 1995. Diatom evidence of past water quality change in Adirondack seepage lakes (New York, U.S.A.). Diatom Research. 10:113-129 https://doi.org/10.1080/0269249X.1995.9705331
  22. Fjerdingstad E. 1964. Pollution of streams estimated by benthal phytomicroarganism. I. A saprobic system communities of organism and ecological factors. lnt Revue Hydro BioI. 49:63
  23. Forsberg C and SO Rylim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ic state indies in 30 Swedish waste receiving lake. Arch Fur Hydrobiol. 89:189-207
  24. Franson MAH. 1989. Periphyton. pp.10-54. In Mary Ann H. Frason[eds.], Standard methods;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5. Hasle GR and GA Fryxell. 1970. Diatoms: cleaning and mounting fo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rans. am. Microsc. Soc. 89:469-474 https://doi.org/10.2307/3224555
  26.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2nd ed. McGrew-Hill, New York. pp. 576
  27. Krammer K and H Lange-Bertalot. 1991. Bacillariophyceae. Centrales, Fragilariaceae, Eunotiaceae. In: $Su{\beta}wasserflora$ von Mitteleuropa (H. Ettl, J. Gerloff, H. Heynig and D. Mollenhauer, eds), 2/3. Fischer, Stuttgart and New Yark
  28. Laing TE, R Pienitz and JP Smol. 1999. Freshwater diatom assemblage from 23 lakes located near Norilsk, Siberia: a comparison with assemblages from other circumpolar treeline regions. Diatom Research. 14:285-305 https://doi.org/10.1080/0269249X.1999.9705471
  29. Lange-Bertalot H. 1979. Pollution tolerance of diatoms as a criterion for water quality estimation. Nova Hedwigia, Beiheft. 64:284-304
  30. McCormick PV and RJ Stevenson. 1998. Periphyton as a tool for ecolog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the Florida Everglades. J. Phycol. 34:726-733 https://doi.org/10.1046/j.1529-8817.1998.340726.x
  31. O'Connell JM, ED Revie and JP Smol. 1997. Assessment of water quality using epiphytic diatom assemblages on Cladophora from the St. Lawrence River (Canada). Diatom Research. 12:55-77 https://doi.org/10.1080/0269249X.1997.9705402
  32. Patrick R and C Reimer. 1966.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I. Monograph of the Academy of the Natural Sciences, Philadelphia. 1:688
  33. Round FE. 1981. The ecology of algae. pp. 629.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4. Ter 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ogy. 67:1167-1179 https://doi.org/10.2307/1938672
  35. Ter Braak CJF. 1987. Ordination. In: Data Analysis in Community and Landscape EcologyI (R.H.G. longman, C.J.F. ter Braak & O.F.R. van Tongeren, eds), 91-173. Pudoc, Wageningen, The Netherlands
  36. Uehlinger U. 1991.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periphyton biomass in a prealpine river (Necker, Switzerland). Arch. Hydrobiol. 123:219-237
  37. Watanabe T. 1977. Water pollution og Kanzaki river on Osaka prefecture and the diatom flora of the bottom mud on the river bed. Nara. Hydrobiol. 6:27-65
  38. Watanabe T. 1981. Pollution spectrum of taxon that is composed epilithic diatom community. Res. Rep. Envir. Sc. B121-R12-10:34-43
  39. Watanabe T, K Asai and A Houki. 1988. Numerical index of water quality using diatom assemblage. In: 'Biological monitor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eds M Yasuno & BA Whitton), pp. 179-192. Tokai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