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수리계산방식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Introductory Plan of Automatic Wet Pipe Sprinkler System to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 발행 : 2007.09.30

초록

우리나라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에서의 수리계산방식은 규약배관방식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독립적인 방법으로 수리계산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제약을 받는다. 이에 따라, 방수밀도개념을 도입하여 시행중인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수리계산의 설계에 있어 방수밀도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며, 현행 국가화재 안전기준(NFSC)에서는 수리계산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해답이 될 수 없으며, 헤드의 설치위치별로 방수상황이 다르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선진국의 경우처럼 방수밀도개념의 도입으로 헤드의 설치위치별 방수량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으며, 둘째, 사용 가능한 헤드구경의 다양화를 통해 방수량 분포의 범위를 줄여 방수밀도의 평준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셋째, 수리계산방식 적용에 대한 규정의 강화를 통해 수리계산방식의 사용이 확대되어 결과적으로 성능위주의 설계로 발전시킬 수 있다.

Our country automatic wet pipe sprinkler system of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has not deviated from the pipe regulation process, therefore we face limitations when using an independent method to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Therefore. after reviewing a developed country's methods using the drainage-density concept, we found it necessary for our country to introduce the drainage-density concept. Currently, under the National Fire Safety Codes(NFSC), this does not solve the problem and the limitation of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because different problems arise depending on where the head was installed. To make improvements, first, such as the developed country, overcome the difference by introducing the drainage-density concept to determine the amount of drainage. Second, by using diverse head caliber and decreasing the limits on the amounts of distribution, we can expect a leveling off of the drainage density. Third, using the increase of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ule to hydraulically designed system, finally, development to performance based fire protection design.

키워드

참고문헌

  1. 소방관련법령집,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119magazine(2007)
  2. 남상욱, '소방시설의 설계 및 시공' , 성안당(2007)
  3. 하정호 외 2인, '최신핵심소방기술 上', 호태(2005)
  4. 공하성, '소방관계법규', 성안당(2007)
  5. NFPA 13. 'Standard for the Installation of Sprinkler System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2002)
  6. 여용주, '수계소화설비공학 - 스프링클러설비 편', 한국화재연구소(2006)
  7. 송철강, '배관망해석방법을 이용한 스프링클러시스템의 수리계산프로그램 개발', 2001년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윤동주, 'Sprinkler System의 규약배관방식과 수리계산방식에 관한 연구', 2003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현준, '스프링클러 가지배관시스템에서 규약배관 방식과 수리계산 방식 설계의 경제성 비교연구', 2004년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강주형, '수리계산적용을 위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개선방안 연구', 2004년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여용주, '공학적 합리성에 근거한 한국스프링클러설비 화재안전기준의 개선에 관한 연구', 2005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www. npchse.net/safety/pdf/ips/E-SF-200.PDF
  13. www. fire-defence.com/ite/indust.html
  14. www.kfi.or.kr/data/board/list.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