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lora of Jangsanbong

장산봉(부산)의 식물상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angsanbong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was investigated from April 2003 to April 2004. Vascular plants in the surveyed area were 254 taxa that belonged to 78 families, 175 genera, 218 species, 34 varieties, and 2 forma. Among them, 20 taxa of evergreen broad trees, 3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especially Rubus trifidus was first recorded in Busan. In the upper part of a circular road dominant species was Pinus thunbergii. In the lower part of a circular road and the coastal area, dominant species were Platycarya strobilacea, Clerodendron trichotomum, Euscaphis japonica, Quercus aliena, Quercus dentata, Mallotus japonicus, which distribute mainly in the subtropical and temperate zone. In the surveyed area, the canopy consistsed of tall trees, Pinus thunbergii, and the understratum were trees such as Eurya japonica, Ficus erecta, Ligustrum japonicum, Prunus sargentii, and Celtis sinensis var. japonica.

Keywords

References

  1. 문태광, 2002, 부산의 산, 연문출판사, 239pp
  2. 부산광역시, 1989, 부산시사 - 제1권, 68-71
  3. 이정훈, 2005, 부산의 상록식물상과 분포, 석사학위논문, 생물학과, 경성대학교, 부산
  4. 주상우, 1974, 부산시지(상) - 식물편, 부산시, 204pp
  5. 주상우, 1950, 부산지방식물조사(영도편), 해동중학교, 24-102
  6. 주상우, 1953, 부산 조도의 식물상, 부산제일고등학교 학보, 29-37
  7. 이덕봉, 1955, 금정산의 식물조사, 중앙대 30주년기념 논문집, 353-381
  8. 차동석, 1957, 부산지방의 산림 식물상, 18pp
  9. 박만규, 이은복, 1970, 낙동강 하류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 25-32
  10. 홍순형, 1986, 부산지역 목본식물 조사보고, 부산대 환경 연구보, 4, 47-66
  11. 문성기, 이종남, 홍채규, 1992, 황령산 식물의 개화기 조사, 경성대학교 논문집, 13(3), 289-306
  12. 문성기, 2001, 금정산 휴식년제에 따른 생태조사, 부산광역시, 68pp
  13. 김윤현, 1994, 부산지역 외래식물 조사 보고, 석사학위논문, 교육대학원, 부산대학교, 부산
  14. 이명도, 2003, 부산지역의 삼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생물학과, 계명대학교, 대구
  15.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p
  16. 주상우, 1992, 산과 들의 계절식물, 참한출판사, 775pp
  17. 고경식, 1993, 야생식물생태도감, 511pp
  18. 김태욱, 1994, 한국의 수목, 교학사, 643pp
  19. 이영노, 1996, 원색한국식물도감, 교학사, 1234pp
  20. 김태정, 1996, 한국의 야생화 바닷가에 피는 식물, 국일미디어, 266pp
  21. 송홍선, 2004, 한반도자생 상록활엽수도감, 풀꽃나무, 280pp
  22.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3, 한국양치식물도감, 399pp
  23. 박수현, 1999,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 371pp
  24.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pp
  25. 김준민, 임양재, 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281pp
  26. Melchior H., Werderman E.,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lmilien, I. Band, Allgemeiner Teil Bakterien bis Gymnospermen, Gebruder Bomtraeger . Berlin-Nikolassee, 367pp
  27. Melchior H., Werderman E.,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lmilien, II. Band, Angiospermen Ubersicht uber die Florengebiete der Erde, Gerruder Bomtraeger Berlin-Nikolassee, 666pp
  28. 김종원,1989, 부산의 생물상 - 식물편, 181-233
  29. 이상태, 1997, 한국식물검색집, 아카데미서적, 446pp
  30.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31. 김혁진, 태경환, 김동갑, 도재화, 윤창영, 김주환, 2006, 서대산(충청남도)의 관속식불상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4(4), 341-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