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oyal Tombs Hongneung and Yureung

홍유릉(洪裕陵)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eung-Nyeon (Tangible Cultural Heritage Bureau,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 Sim, Woo-Ky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University) ;
  •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and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 김흥년 (문화재청 문화유산국)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최종희 (배재대학교 생명환경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iscussi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 and spatial organization on Hongneung and Yureung(royal tomb) in Namyangju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y including Feng-Shui theory. To do this, we studied in two ways;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and photographing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orm of physical structure and review of historical document. The result of analysis in sight of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was good matched. Main finding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location and landscape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the harmony with natural following traditional thinking and the Korean view of nature, while maintaining the dignity of the King. The spatial organization were placed in a straight line following the hierarchy of metaphysics by order of Neungchim(Tombs Vicinity) - Changmyungdeung(Stone Lantern) - Chungjakak(Pavilion) - Hongsalmun(Gate for Heavenly Gods) and was based on the Confucianism value, the natural contour and inner value. Through this study, we find the principles made it possibles to re-evaluate nature in modem society and provided us with new ways to conserve nature with the help of environmental theory.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복(1992) 조선시대 문인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원 조형학과 석사 학위 논문
  2. 김영빈(1990) 풍수사상에서 본 조선왕릉원묘 조성기법에 관한 연구. 효성여대 연구논문집 8:26-30
  3. 김은선(2006) 조선후기 왕릉석인 조각 연구. 미술사학 연구 249호
  4. 목을수(1988) 고려, 조선 능지, 서울:문성당
  5. 문화재청(2007) 홍유릉관리소 업무현황자료
  6. 배윤수(1983) 조선시대 왕릉 석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7. 양관(2005) 중국 역대 능침 제도. 서경
  8. 유영교(1976) 조선왕조 후기 왕릉의 석인 . 석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은광준(1992) 조선왕릉 석물지. 민속원
  10. 이경재(1990) 왕릉식생경관 구조 및 관리 대책에 관한 연구(2). 한국조경학회지 17(3) :35-47
  11. 이경재(1991) 왕릉식생경관 구조 및 관리 대책에 관한 연구(3). 한국조경학회지 19(3) :41-54
  12. 이영(1992) 조선시대 왕릉능역의 건축과 배치형식 연구. 서울대 건축학과박사학위 논문
  13. 이진희(1997) 조선전기 능묘석물의 배치와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5(2) :1-20
  14. 이찬우(1985) 조선시대의 문무인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창환(1998) 조선시대 능역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6. 이호일(2003) 조선의 왕릉. 가람기획
  17. 장영훈(2000)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서울:대원미디어
  18. 황종찬(1996) 新 풍수지리입문. 서울:좋은글
  19. http://carth.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