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n Self-Esteem and Marital Conflict among Married Men and Women

기혼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자존감 및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 Ha, Sang-Hee (Dept. of Human Ecology, Chonbuk National Univ.)
  • 하상희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부)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n self-esteem and marital conflict among married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ith 311 married men and w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en and women's family of origin experience(family of 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conflict, triangulation) were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marital conflict. Secon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en and women's self-esteem was most powerful predictors of marital conflict. Finally, men's family of origin experiences(family of origin health, parents' marital conflict, trian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conflict, and family of origin health had a indirect effect through men's self-esteem on marital conflict. Women's parents' marital conflict, triang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marital conflict, and family of origin health had a indirect effect through women's self-esteem on marital conflict.

Keywords

References

  1. 권대희(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정란(2005).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기독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자(2004).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야분화가 가족체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상빈(1994). 가족 및 부부관계와 자녀의 심리적 특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소향(1994). 부부갈등에 대한 아동의 감정적 평가와 인지적 평가.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기 (2001). 기혼자녀가 지각하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정체감이 결혼 후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용태 (2000). 가족치료이론. 서울 : 학지사
  8. 김현정 (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현정.김명자(1999). 근원가족 건강도, 자아존중감, 결혼적응의 관계 - 청주시 결혼 초기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39-60
  10. 남순현(2000).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에 관한 연구-성인자녀 가족과 3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정희.유영주(2000).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주부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2), 155-174
  12. 서연석 (1999). 자아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말희(1990). 기혼남녀의 부부간 갈등 정도와 대응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2), 31-47
  14. 송정아.최규련 (1997).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서울 : 하우
  15. 양진선(2004). 부부친밀감과 자야존중감 및 원가족 건강성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어은주(1996).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 변인 연구-자녀 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어주경(1998). 저소득층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아동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엄혜정.정혜정(2006).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삼인군 경험이 자아존중감 및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4(2), 1-16
  19. 오정옥(1999). 가족의 건강성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 4(2), 153-172
  20. 옥경희(1995).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가족의 영향. 광주대 학생생활연구, 2, 1-16
  21. 원영희(1900).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유은희 (1991). 기혼자녀의 부모에 대한 애착 및 자율성 발달 유형파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윤세은 (2000).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 정체감과의 관계-서울시 남녀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윤혜영 (2000).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가 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종원 (2002). 부부갈등과 관련된 원가족 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창만 (1992). 자야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둥과 부부적응.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전연진 (2002). 삼세대 가족관계 경험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전영주 (1998). 삼세대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과 성인 자녀의 우울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22-45
  30.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전현진.박성연(1999).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3), 153-169
  32. 정문자 (2003).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33. 최규련 (1994).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34. 최난경 (2003). 부모의 원가족 분화수준과 자녀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최인실 (200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 태도성숙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현미 (1997). 원가족 척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하상희 (2007).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의 세대간 전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한미향(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Bartle,S.E,. & Anderson, S. A (1991). Similarity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levels of individuation. Adolescence, 26, 913-924
  40. Bartle-Haring, S., & Sabatelli, R.(1998). An intergenerational examination of patterns of individual and family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 903-911 https://doi.org/10.2307/353633
  41. Benson, M.J., Larson, J., Wilson, S.M & Demo, D.H.(l993). Family of Origin lnfluences on Late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August), 663-672 https://doi.org/10.2307/353347
  42. Becvar, D. S., & Becvar, R. J.(l988). 정혜정.이형실 (1997)역. 가족치료 체계론적 통합. 서울 : 하우
  43. Coopersmith, S. (1967).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44. Davi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bn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https://doi.org/10.1037/0033-2909.116.3.387
  45. Fine, M. & Hovestadt, A. J.(1984). Perceptions Of Marriage And Rationality By Levels Of Perceived Health In The Family Of Origin.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10(2), 193-195
  46. Gilligan(1982). In a different voi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7. Guerin, P. J., Fay, L. F., Burden, S. L., & Kautto, J. G.(1987).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Marital Conflict: A Four-Stage Approch. Basic Books
  48. Harrist, A. W. & Ainsle, R. C.(1998). Marital discord and child behavior problem: Parent-e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 interpersonal awareness as mediators, Joural of Family Issues, 19(2), 140-163 https://doi.org/10.1177/019251398019002002
  49. Hovestadt, A.J., Anderson, W. T., Piercy, F.P., Cochran, S. W., & Fine, M.(1985). A Family-of-Origin Scale.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2(3), 287-297
  50. Larson, J. H., Benson, M. J., & Wilson, S. M. (1998). Family of origin influences on marital attitudes and readiness for marriage in late adolesc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19(6), 750-768 https://doi.org/10.1177/019251398019006005
  51. Rovers, M., DesRoches, L., Hunter, P. E. & Taylor, B.(2000). A family of origin workshop : process and evaluation. Family Journal, 8(4), 368-375 https://doi.org/10.1177/1066480700084006
  52. Sabatelli, R. M. & Suzanne, B. H.(2003). Family-of-Qrigin Experiences and Adjusbn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February), 159-16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3.00159.x
  53. Satir, V. (1988). The new peplemaking. Mountain View,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54. Satir, V. (1993). Conjoint family therap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55. Sternberg, K. J. (1993).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 and dep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44-52 https://doi.org/10.1037/0012-1649.29.1.44
  56. Williamson, D. S. (1978).New Life at tte graveyard: A method of therapy for individuation from a dead former paren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4, 93-102 https://doi.org/10.1111/j.1752-0606.1978.tb00500.x
  57. 통계청. 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