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s on Ecologism: Applications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Silhak

생태주의의 인식론적 비교: 성리학과 운화론을 중심으로

  • Kim, Jeong-Ta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eong-Woo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and Regional Development & Institute of Regional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정태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원) ;
  • 이성우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및 조경.지역개발연구소)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Silhak as a Korean epistemology,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Silhak in Korean society, and to discover further environmental implication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paper concerns with the epistemolog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Epistemology is based on the justification of certain knowledge and social philosophy. Epistemology, from the Greek words episteme (knowledge) and logos (word/ speech) is the branch of philosophy concerned with theories of the sources, nature, and limits of knowledge.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epistemology has been one of the fundamental themes of philosophers, who were necessarily obliged to coordinate the theory of knowledge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ought. It is a general belief that Western ideology is substantially embedded in Eastern ideology due to physical and metaphysical colonial involvement. We argue that ecological crisis may be resulted from western epistemological mechanical view, thus we suggests a Korean epistemology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we seek possibility of epistemological alternative of nature in the Korean traditional epistemology incorporating the epistemology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Silhak.

Keywords

References

  1. 김광웅. 1996. 방법론 강의, 박영사
  2. 김기현. 2004. '퇴계의 理 철학에 내재된 세계관적 함의', 퇴계학보 116 : 1-66
  3. 김영식. 2005. 주희의 자연철학, 예문서원
  4. 김용옥. 1994. 독기학설, 통나무
  5. 김용옥. 2004. '측언에 나타난 혜강의 생각: 독인정 설', 대동문화연구 45 : 63-100
  6. 김홍순. 2005. '한국에서 지속가능성 이념의 실현양태: 경남지역 시범생태산업단지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담론201 8(1) : 60-90
  7. 이종훈.한변희. 2002.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문화의 환경철학 모색', 철학과 현상학 연구 19: 135-163
  8. 이중환. 2006. 택리지, 이익성 역, 을유문화사
  9. 이현구. 2003. '최한기 사상의 인식론적 의의', 대동문화연구 43 : 253-272
  10. 박채옥. 2004. '칸트의 자연과 기술이성 비판', 범한철학 35 : 285-306
  11. 박상환. 2002. '라이프니츠의 성리학의 이해에 대한 비교철학적 분석', 유교사상연구 16 : 213-233
  12. 박희병. 2003a. 운화와 근대, 돌베게
  13. 박희병. 2003b. '최한기 사상에 있어서 자연과 인위의 관계', 대동문화연구 42 : 117-136
  14. 서욱수. 2005. 혜강 최한기의 세계인식, 소강
  15. 손홍철. 2003. '혜강 최한기의 기운화론으로 본 자연관', 동방학지 120 : 125-172
  16. 송영배.금장태. 2000. 한국유학과 이기철학, 예문서원
  17. 임형택. 2004. '정약용의 경학과 최한기의 기학: 동서의 학적 만남의 두 길', 대동문화연구 45 : 1-19
  18. 전영옥.이상문. 2004. '한국 전통도시의 생태적 계획원리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2) : 7-20
  19. 최영진.이행훈. 2004. '최한기 운화론의 생태학적 해석', 대동문화연구 45 : 119-139
  20. 한면희. 1994. '환경철학의 세계관과 윤리: 인간중심주의 대 생태중심주의', 철학연구 35 : 327-355
  21. May. J. 1971. 한국계획가의 가치관과 기법. 도시 문제 6(3) : 58-68
  22. Opdam, Paul, SteingrOver, Eveliene. & Rooij, Sabine Van, 2006, 'Ecological networks: A spatial concept for multi-actor planning of sustainable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 : 322-33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5.02.015
  23. Willers, Bill, 1994, 'Sustainable Development: A New World Deception', Conservation Biology 8(4) : 1146-1148 https://doi.org/10.1046/j.1523-1739.1994.0804114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