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for Visiting Health Serv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Focused o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보건소 방문보건 대상 노인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지지와 인지된 건강상태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elderly who have received visiting health serv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Method: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678 elder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period from February 21 to June 30 in 2006.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 and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AS 9.1 program. Result: Among elderly, 73.8% of them showed depression. The elderly with higher level of socioeconomic status (${\beta}=0.136$, p=0.019) and higher level of social support including family support(${\beta}=-0.018$, p<.0001), friend's support(${\beta}=-0.025$, p<.0001) and special person's support (${\beta}=-0.021$, p<.0001) show lower levels of depression. In addition, elderly with perceived good health status (${\beta}=0.119$, p<.0001) feel less depression than those who have poor health condi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 among elderly should be considered to decrease depression. These findings would contribute to health education, designing interven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appropriate depression management for the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숙, 김근조.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000; 26(4):451-459
  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1996;35(2):298-307
  3. 김명아, 김현수, 김은정. 서울 일지역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노인간호학회지 2005;7(2):176-184
  4. 김미숙, 김기순, 박종, 조용래, 김양옥. 일부 농촌노인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회지 1999;24(1):115-129
  5. 김범경. 운동여부에 따른 노인의 인지능력과 우울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2002
  6. 김병하, 남철현. 유배우 노인의 우울정도와 관련요인 분석 연구. 한국노년학 1999;19(2):173-192
  7. 김인자, 서문자, 김금순, 조남옥, 사회적 지지의 특성에 따른 뇌졸증 환자의 우울. 재활간호학회지 1999;2(2):200-214
  8. 김정아. 일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행위, 사회적지지 및 우울에 관한 조사. 세명논총 1998;7:633-660
  9. 노국희. 일부 지역사회 노인들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998;9(1):104-116
  10. 박인옥, 김진세, 이강준, 정인과. 한국 노인의 우울 요인. 노인정신의학 1998;2(1):47-63
  11. 박영주, 정혜경, 안옥희, 신행우. 노인의 외로움과 건강행위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2004;6(1):91-98
  12. 성기월. 노인의 인지기능,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 대한간호학회지 1997;27(1):36-48
  13. 손석준.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2000;25(1):87-98
  14. 송양순. 재가노인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산정논총 2001;2:193-226
  15. 양수, 김남초. BDI- II 에 의한 도시지역 노인의 우울 정도와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1;10(4):463-472
  16. 오복자, 위암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예측 모형 [박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7. 유애광, 검옥란, 정경옥, 강지연. 일 방문보건사업 대상노인들의 건강상태, 우울, 자아통합감 및 방문에 대한 만족도 조사. 김천과학대학 1999;25:129-138
  18. 윤진.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1985
  19. 이귀행. 노인의 우울, 불안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에 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회 1990;29(4):832-842
  20. 이영란. 무용요법이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1999;29(2): 429-444
  21. 이영자, 김태현.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1984;19(3):79-93
  22. 이종범, 노인의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984; 4(1):44-52
  23. 임은실. 저소득 재가노인의 신체적 기능, 우울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 서울 연세대학교 2002
  24. 전진숙. 여성우울증의 신경생물학. 노인정신의학, 1993;3(2):129-139
  25. 정성덕, 권복순, 이중훈. 양노원 현황과 지원자 건강상태에 대한 예비조사. 한국노년학 1986; 6(1):79
  26. 조남옥, 양경라, 홍여신, 이은옥, 최명애. 노인의 자기표현수준과 상호작용양상에 따른 확대가족의 가족기능과 노인의 우울과의 관계. 간호학논문집 1998;12(2):185-201
  27. 조은희, 전진호, 이상원. 경로분석을 통한 만성질환 노인 환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델 설정. 노인병 2000;4(3):148-163
  28. 최순영. 만성 요통 여교사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1;7(2): 169-187
  29. 채수원.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 충남대학교 대학원, 1991
  30. 한미진. 여성노인의 수면과 인지기능, 우울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31. 허준수, 유수현.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사회사업 2002; 13:7-35
  32. 황미혜, 도복늠. 노인이 지각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역량, 경북간호과학지 2000; 4(1):43-58
  33. 탁영란, 김순애, 이봉숙. 여성 노인의 사회적지지 및 도구적 지지요구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03;9(4):449-456
  34. 통계청. 고령자 통계. 2006
  35. Blazer DG. Cilrrent Concept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The New England J of Medicine 1984;320:164-166
  36. Bosworth HB, Steffens DC, Kuchinbatla MN, Jiang WJ, Ariasm RM, O'Conner CM & Krishman KR.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s and negative events with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J of Aging & Mental Health 2000;4(3):253-258 https://doi.org/10.1080/713649927
  37. Bothell WL, Fischer J, & Hayashida C.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low income elderly. J of Housing for the Elderly 1999;13(1-2):51-63 https://doi.org/10.1300/J081v13n01_01
  38. Bergmann K Foster EM, Justice A W, Matthews v. Management of the Demented Elderly Patients in the Community. Br J Psychiatry 1978; 132: 441-449 https://doi.org/10.1192/bjp.132.5.441
  39. Han HR, Kim MY, Lee HB, Gina P, Kim KB. Correlates of Depression in the Korean American Elderly; Focusing on Personal Resources of Social Support. J of Cross Cult Gerontol 2006
  40. Ho PY. A peer counselling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pression living in the community. J of Aging & Mental Health 2006;11(1):69-74
  41. Gazmararian J, Baker D, Parker R. & Blazer D. A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0;1(30): 7-31
  42. Gomez GE & Gomez FA. Depression in the elderly. J of psychological nursing 1993; 31(5):28-33
  43. Kienhorst CWM, de Wilde EJ, & Diekstra RFW. Suicidal behavior in adolescents. In LM Goodher(Ed), The depressed child and adolescent 1995;225-252.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Lawston, M P., Moss, M, Fulcomer, M, Kleban, M 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 of Gerontology 1982;37(1) :91-99 https://doi.org/10.1093/geronj/37.1.91
  45. Magilvy JK Quality of life in hearing-impaired older women. J of Nursung Research 1985;34(3):140-144
  46. Michal 1M, Pablo AM. & Howard L. Depression as a Predictor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mand : A Componential Approach Using a Prospective Sample of Older Adults. J of Emotion 2006;6(3):450-458 https://doi.org/10.1037/1528-3542.6.3.450
  47. Newsome JT, & Schulz R.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 between fun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J of Psychology & Aging 1996;11(1):34-44 https://doi.org/10.1037/0882-7974.11.1.34
  48. Sabrina TW, Grace JY. & Anita LS. An Empirical Evaluation of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Chinese and Korean Immigrants. J of Ethnicity and Health 2007;12(1):43-67 https://doi.org/10.1080/13557850600824104
  49. Yasavage JA, Brink T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of Psychiatr Res 1983;17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
  50. Y oon DP. & Lee EK The Impact of Religiousness,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 in Rural Areas. J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2007;48(3): 281-298 https://doi.org/10.1300/J083v48n03_01
  51. Zimet, G. G., N. W. Dahlem, S. G. Zimet & G. K Farley. The multidiment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