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imulation of Daylight and Experiment for Determining on Effective Dimming Ratio

효과적인 조광제어시스템 적용을 위한 주광시뮬레이션과 실험데이터 분석

  • 김가영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유신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 최안섭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to increase the energy-saving effects by reducing excessive intensity of radiation of artificial lighting through analyzing daylight incident. A photosensor sends amounts of detected luminous flux to digital control unit(DCU) as a signal and then, it can decide dimming ratios, received a proper dimming signal from DCU. Generally it is effective to control artificial lighting with the different control ratio of each zone by setting a photosensor as same number and rows as artificial lighting. However, it is ineffective to do in initial costs of systems aspect in offices. As a result of grasping the distribution of daylight previously and analyzing daylight and dimming data, we can dim different dimming ratios to each zone of artificial lighting by a single photosensor.

본 연구는 실내로 유입되는 주광을 조광제어시스템의 적용에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초과한 인공조명의 광량을 줄임으로써 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높이고자 함이다. 광센서는 탐지된 광속량을 신호로 보내고 그에 알맞은 제어신호를 받아 조광율을 결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무공간에서 인공조명의 개수나 행수만큼 광센서가 설치가 되어 조명기구의 각 구역마다 다른 조광율로 조광제어를 하는 것이 인공조명 제어측면에서는 효율적이나, 시스템 설치비용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미리 유입되는 주광 분포를 파악하고 조광율을 분석한다면, 하나의 광센서 설치로써 인공조명 구역간의 각기 다른 조광율로 제어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정근영,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의 광센서 방향성과 위치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2
  2. 최안섭 외, 조명시스템의 자동화를 위한 주광센서 연동 제어 시스템의 개발연구, 삼성물산(주) 기술연구소, 1998.2
  3. 김가영, 사무공간에서 효율적인 조광제어시스템 적용을 위한 주광분포 연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춘계학술발표대회, 2005.6
  4. 조명디자이너 인증교육 교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9
  5. 정봉근, '광센서 조광제어시스템의 조광용 안정기와 광센서의 성능향상을 위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20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