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된 대퇴부의 결절성 근막염 - 2예 보고 -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Mimicking Soft Tissue Sarcoma - Two Cases Report -

  • Jeon, Ho-Se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ae Hospital) ;
  • Jeon, Seung-Ju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ae Hospital) ;
  • Kang, Yu-Mi (Department of Pathology, Sungae Hospital) ;
  • Moon, Chan-Sam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ae Hospital) ;
  • Ha, Seung-Jo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ungae Hospital)
  • 발행 : 2007.12.30

초록

결절성 근막염은 섬유모세포와 근모세포의 증식에 의하여 발생하는 양성 질환으로 그 크기도 보통 3 cm 이내로 작다. 이 질환은 빠른 성장, 풍부한 세포충실성 및 유사 분열과 같은 특징들을 보일 수 있어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될 수 있다. 저자들은 기존의 보고와는 달리 그 크기가 5 cm 이상으로 큰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한 2예의 대퇴부에 발생한 결절성 근막염을 치험하였다. 그 중 1예는 임상적으로 뿐 아니라 조직학적으로까지 연부조직 육종으로 오인하였으나 외부의 숙련된 병리학자들의 도움으로 결절성 근막염으로 최종 진단되었으며, 2예 모두 2년 추시관찰에서 재발의 증거가 없었다. 저자들의 예들처럼 그 크기가 일반적인 것과는 달리 5 cm 이상으로 큰 종괴성 병변인 경우에는 연부조직 육종의 감별 진단으로서 매우 중요하기에, 대퇴부에 발생한 2예의 결절성 근막염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odular faciitis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benign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myoblasts, and it measures dimension up to 3cm. The characteristics such as rapid growth, abundant cellularity, and mitotic activity occasionally cause these lesions to mimic sarcoma. The authors experienced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hich were unusually large with dimension of more than 5cm. All of these two cases mimicked sarcoma and one of two cases, which initially mimicked sarcoma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in our hospital, was finally diagnosed as nodular fasciitis after requesting external consultation to several experienced pathologists. All of two cases had no evidence of recurrence at 2 years postoperatively. The lesions of unusually large dimension such as in our cases must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oft tissue sarcoma. So we report two cases of nodular fasciitis of the thigh with a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