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THODONTIC TRACTION OF TRAUMATICALLY INTRUDED TEETH : CASE REPORT

외상에 의해 함입된 치아의 교정적 견인을 통한 치험례

  • Kim, Hae-R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
  • Oh, So-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
  • Kim, Young-He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 김해리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 ;
  • 오소희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 ;
  • 김영희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소아치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raumatic injury of tooth in children is commonly occurred problem. It is classified into tooth, periodontal tissue, supporting bone, soft tissue injury by it's area and extent. Among the periodontal tissue injuries, traumatically intruded teeth are common in anterior maxillary area, though the occurrence rate is rather low, the pulp and supporting tissue injury is possible by vertical impact. The treatment method of traumatically intruded teeth is various. Observation on the spontaneous reeruption for 3-4 weeks is recommended if the traumatized teeth are deciduous teeth or slightly intruded immature permanent anterior teeth. If this did not occur because the extent of intrusion is severe or the traumatized teeth are mature permanent anterior teeth, orthodontic traction is applied by fixed/removable appliances. At this time, light and continuous force is applied for the extrusive movement of the intruded teeth. When above procedures are impossible, surgical repositioning and fixation is recommended. In these cases, we performed conventional endodontic therapy for pulp necrosis and orthodontic traction with fixed appliance. We obtained satisfactory results and will report that.

어린이에서 치아의 외상성 손상은 흔히 일어나는 문제이며, 손상 부위 및 정도에 따라 치아의 파절, 치주조직의 손상, 지지골 조직의 손상, 연조직의 손상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치주조직의 손상 중 치아가 외상에 의해 함입된 경우는 상악전치부에서 흔하며, 다른 유형의 손상에 비하여 비교적 발생빈도가 낮은 편이지만, 치축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져 치수뿐만 아니라 지지조직까지 손상을 일으킨다. 치아의 함입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는 유전치나 조금 함입된 미성숙 영구 전치의 경우, 인위적인 재위치 없이 3-4주 동안 재맹출을 기대할 수도 있으나, 심하게 함입되어 재맹출을 기대하기 어려운 영구 전치의 경우에는 교정적 견인을 통해 교합수준에 이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며, 고정성/가철성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약하고 지속적인 힘을 이용하여 치아를 치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자발적 재맹출, 교정적 견인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외과적으로 치아를 재위치 시키고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외상으로 인해 상악 좌측 영구 중절치가 함입되어 내원한 8세 7개월과 9세 11개월의 환아에서, 치수 괴사에 대한 통상적인 근관치료와 고정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통해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