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possibility to reduce treatment time for child patient who have limited control activity during flowable composite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comparing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Group I, II with Single $Bond^{TM}$, group III, IV with AQ Bond $Plus^{TM}$, group V, VI with Prompt L-$Pop^{TM}$, and group VII as control group without adhesive system. 12 premolars and 10 molars were assigned into each group. Restorative material was used the Filtek $Z350^{TM}$ flowa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microleakage evaluation, in the group I, II with Single $Bond^{TM}$ showed low dye penetration score. Dye penetration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were similar. 2. Results for shear bond strength at group I and group II showed values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p>0.05) 3.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I and II, III and IV, V and VI groups. 4. Group VII showed significantly low shear bond strength than group I, II, V, VI(p<0.05). Group VII showed low value than group with III and IV,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conclusion, adhesive bonding resin was not affect significantly to microleakage and shear bond strength of flowable resin restoration. Therefore, to reduce the operation time, adhesive bonding resin and flowable composite resin can be cured at once. But contamination of saliva, location of cavities can affect to bond strength in clinical field.
본 연구는 소아 환자의 유동성 복합 레진 수복 시 접착제의 사용 및 중합 여부 그리고 접착제 종류에 따른 수복물 변연의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함으로써 치료 시간의 단축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시행하였다. 미세누출을 평가하기 위해 우식이 없거나 법랑질에 제한된 우식이 있는 상, 하악 소구치 84개, 전단결합강도 평가를 위해 협설면에 우식이나 결손부가 없는 대구치 70개를 각각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접착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총 7군을 설정하여 I군과 II군은 Single $Bond^{TM}$, III군과 IV군은 AQ Bond $Plus^{TM}$, Ⅴ군과 Ⅵ군은 Prompt L-$Pop^{TM}$ 그리고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레진을 충전하는 VII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미세누출과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세누출 평가 결과 Single $Bond^{TM}$를 사용한 I군과 II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낮은 염료 침투를 나타냈다. I군과 II군 사이의 염료 침투 양상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2. 전단결합측정결과 I군과 II군이 다른 군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통계적 유의차를 보였다(p<0.05). I군과 II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3. I군과 II군, III군과 IV군, V군과 VI군 사이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0.05). 4. VII군은 I, II군과 V, VI군에 비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있게 낮은 전단 결합 강도를 보였으며(p<0.05) III, IV군과는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차는 없었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