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DENTAL CARIES, CARIOGENIC MICROORGANISMS AND LEVELS OF SALIVARY IMMUNOGLOBULIN BETWEEN NORMAL PERSON AND MENTAL RETARDED PERSON

정상인과 정신지체인의 치아우식증과 치아우식 원인균, 타액내 면역항체의 비교

  • Choi, Sei-W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Yang, Kyu-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Choi, Nam-K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 Kang, Mi-Sun (The second stage of BK21 for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im, Hoi-Soon (Department of Dental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Oh, Jong-Suk (Department of Microbiology, School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o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 최세원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양규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최남기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 강미선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단계 BK21) ;
  • 임회순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교육학교실) ;
  • 오종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
  • 김선미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의학 연구소)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status of dental caries between mental retarded persons(MR) and normal persons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among dental caries and oral factors(plaque index, S. mutans, Lactobacillus, buffering capacity, salivary total IgA and anti-S. mutans IgA titers). DMFS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MR person group than in the normal person group. The concentration of S. mutans-specific Ig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normal person group than in the MR person group, but that of salivary total IgA was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normal person group than in the MR person group, but the counts of salivary S. mutans and Lactobacillu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group(I: 9-11Y, II: 12-14Y, III: 15-18Y), DMFS index and plaque index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MR person group than in the normal person group at III. The S. mutans counts and Lactobacillus cou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normal person group than in the MR person group at I, but those were contrary at II, III.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among caries index and buffering capacity, level of S. mutans and Lactobacillus, plaque index at III.

본 연구는 정상인과 정신지체인의 치아우식증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비교 평가하고자 정상인 63명과 정신지체장애인 31명을 대상으로 우식경험지수, 치태지수를 조사하고, Dentocult 키트를 이용하여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유산간균의 분포정도와 타액의 완충능을 측정하고, ELISA(효소면역분석법)를 이용하여 타액의 면역항체 IgA와 뮤탄스 연쇄상구균-특이 IgA 농도를 측정하였다. 우식경험 영구치면지수와 치태지수는 정신지체인에서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타액 항체 IgA 농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뮤탄스 연쇄상구균 특이-IgA 농도는 정상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완충능은 정신지체인에서 정상인에 비해 더 낮았으며,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와 유산간균 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 비교시 우식경험 영구치면지수와 치태지수는 15-18세군에서 정신지체인이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와 유산간균 수는 9-11세군에서는 정신지체인보다 정상인에서 더 높았으나 12-14세군부터는 정신지체인에서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15-18세군에서 치아우식경험치면수는 완충능과 역상관관계를 보이고, 치태지수, 뮤탄스 연쇄상구균, 유산간균과 상당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지체인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정상인보다 우식경험치면수가 많았고, 치태가 많았으며,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유산간균의 수가 많고, 타액의 완충능과 뮤탄스 연쇄상구균 특이-IgA 농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