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Dividend Initiation Decisions of Firms

기업의 배당개시결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Shin, Min-Shik (Dept. of Business Adminstr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g, Joon-Hyup (Dept. of Business Adminstr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study empirically the dividend initiation decisions of IPO firms listed on Korea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Specifically, we study three aspects of dividend initiation decision, (a) dividend initiation decision, (b) dividend level decision, (c) time-to-initiation deci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eterminants suggested by the major theories of dividends, namely, residual dividend, dividend signaling, agency, catering, and transactions cost theory explain significantly the dividend initiation decision. Second, determinants suggested by the major theories of dividends explain significantly the dividend level decision. So to speak, most of the findings for dividend initiation decision also hold for the dividend level decision. Third, most of the factors that increase(decrease) the probability of dividend initiation reduce(increase) the time-to-initiation. Almost of the dividend initiation firms start paying dividends within two years of the IPO. Thus, if IPO firm does not initiate dividend early in the life of the firm, then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never initiate dividend.

본 연구는 1997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IPO 기업을 대상으로 배당개시결정의 3가지 측면, 즉, 배당개시 여부, 배당수준 및 배당개시시점의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하였으며,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배당이론, 즉, 잔여배당이론, 배당신호이론, 대리인이론, 케이터링이론, 거래비용이론 등에서 제시된 배당결정요인들은 IPO 기업의 배당개시결정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성장기회 변수인 M/B 비율과 R&D지출 비율이 낮을수록, 수익성 변수인 EBITDA 비율이 높을수록, 거래량회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배당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배당개시확률은 높아진다. 둘째, 주요 배당이론에서 제시된 배당결정요인 중에서 성장기회 변수와 수익성 변수는 IPO 기업의 배당수준결정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성장기회 변수인 R&D지출 비율이 낮을수록, 그리고 수익성 변수인 EBITDA 비율이 높을수록 배당수준이 증가한다. 셋째, 배당개시확률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은 배당개시시점을 단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성장기회 변수인 R&D지출이 낮을수록, 수익성 변수인 EBITDA 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거래량 회전율이 낮을수록, 배당개시확률은 증가하고 배당개시시점은 단축된다. 특히, 수익성 변수인 EBITDA 비율 및 거래량회전율은 배당개시시점과 배당지급/연기 결정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EBITDA 비율이 높을수록 배당개시시점이 단축되고, 거래량회전율이 높을수록 배당개시시점이 연기된다. 또한 배당개시기업의 대부분은 IPO 후 2년 이내에 배당개시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기업이 IPO 후 2년 이내에 배당개시를 하지 않으면 그 이후에는 배당개시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