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rial Share Ownership and Capital Structure: Evidence from Panel Data

소유경영자지분율과 자본구조: 외환위기 이후기간 패널자료분석

  • 김병곤 (창원대학교 경영학과) ;
  • 김동욱 (창원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부산발전연구원)
  • Published : 2007.06.01

Abstract

The agency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decision-making in the firm which in turn potentially impacts on firm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 and leverage. Using an agency framework,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apital structure during post-IMF period. We used the balanced panel data for 378 korean listed companies during the 1999-2005. The panel data sets consist of time-series observation on each of 378 cross-sectional units. The results indicate a non-linear U-shaped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managerial share ownership and leverage with the relation reaching a minimum at 58.48 per cent of management share ownership. As managerial share ownership increase from a low level, managers have incentive to reduce the debt level for decreasing the financial risk, resulting in a lower lever of debt. However, when corporate managers hol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a firm's shares, managers have incentive to increase the debt level for leverage effects, resulting in a higher lever of debt.

본 연구는 외환위기 회복 이후기간을 대상으로 경영자 유인이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유경영자지분율과 레버리지비율간의 관계를 패널자료분석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체기간분석에서 소유경영자지분율수준이 58.48%까지는 지분율의 증가에 따라 레버리지비율이 감소하고, 그 이상의 지분율 수준에서는 소유경영자지분율의 증가에 따라 레버리지비율이 증가하는 U자(字)형 곡선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하위기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하위기간 1]에서는 소유경영자지분율과 자본구조간에는 역(逆) N형 비선형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유경영자지분율이 낮을 때는 소유경영자지분율의 증가에 따라 레버리지수준이 감소하고, 경영자 안주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지분율 수준에서는 소유경영자지분율의 증가에 따라 레버리지비율의 증가현상이, 그 이상의 지분율수준에서는 다시 레버리지비율이 감소하여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위기간 2]에서는 소유경영자지분율 수준이 증가할수록 레버리지 수준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정부의 레버리지 축소정책이 어느 정도 완화되면서 경영자는 부채를 증가시킴으로써 향유할 수 있는 이익을 최대화하고자 하는 유인이 강하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기업들은 레버리지로 인하여 파산위험, 재무적 곤경 현상, 경영자 자신의 고용위험 등과 같이 위험 부담이 많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수준의 지분율 범위까지 레버리지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유인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재무위험에 대한 부담이 어느 정도 완화되는 경우에는 레버리지효과를 향유하고자 하는 유인이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