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기다소나무의 구조용 집성재 이용기술 개발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 구성을 통한 집성재의 휨성능 향상-

Development of Pitch Pine Glued Laminated Timber for Structural Use -Improvement of Bending Capacity of Pitch Pine Glulam by Using Domestic Larch Laminars-

  • 김광모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심국보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박주생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김운섭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임진아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목재성능과) ;
  • 여환명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산림과학부)
  • Kim, Kwang-Mo (Div. of Wood Performance, Dep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him, Kug-Bo (Div. of Wood Performance, Dep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Park, Joo-Saeng (Div. of Wood Performance, Dep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Kim, Wun-Sub (Div. of Wood Performance, Dep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Lim, Jin-Ah (Div. of Wood Performance, Dept. of Forest Produc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Yeo, Hwanmyeong (Dep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7.07.12
  • 심사 : 2007.08.06
  • 발행 : 2007.11.25

초록

주요 조림수종으로 도입 식재된 리기다소나무의 고부가가치 이용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산 리기다소나무 제재목의 기계응력등급은 대부분 E7에서 E9등급으로 집성재 제조에는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단일수종 및 혼합수종 구조용 집성재 제조에 필수적인 리기다소나무 및 낙엽소 판재의 접착성을 평가한 결과 전단접착력, 목파율, 침지 및 삶음박리율 모두 KS기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 단일수종 집성재의 휨성능을 측정해본 결과 휨강도는 KS의 집성재 강도등급에 따른 휨성능 합격기준을 만족한 반면 휨 탄성계수는 기준에 다소 못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낙엽송 층재와의 혼합구성을 통해 리기다소나무 집성재의 휨성능(휨강도와 휨탄성계수)을 20%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층재 구성방법에 있어서는 판재의 탄성계수가 높고 품질이 우수한 낙엽송 층재를 외층에 배치하는 방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리기다소나무의 부가가치 증진을 위한 구조용 집성재 이용은 그 가능성이 매우 컸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crutiniz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pitch pine (Pinus rigida) glued laminated timber in order to add values of pitch pine trees. Also, it was investigated to improve bending performance of pitch pine glulam. Pitch pine was imported as one of major plantation species in Korean peninsula. Machine stress rated grades of pitch pine lumber mostly ranged between E7 and E9. which grades were more or less inferior to producing high quality glulam. However, the adhesive properties between pitch pine and pitch pine, and between pitch pine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Carr.), such as shear bond strength, wood failure rate and de-lamination rate of bonded layer submerged in cold and boiling water, were higher than Korean Standard criteria. These properties are essential for manufacturing glulam with single species or multiple species. The modulus of rupture (MOR) of pitch pine glulam exceeded the criterion of Korean Standard for glulam strength grade but modulus of elasticity (MOE) was lower than the criterion. On the other hand, the bending performances (MOR and MOE) were improved 20 percent by mixing with Japanese larch laminar. It is effective to arrange higher quality Japanese larch laminar at the outer layer of glulam for improving bending performances.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use low quality pitch pine as laminar of structural glulam for adding values of pitch pin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산림과학원. 2004. 2004년도 연구사업 보고서(임산공학분야, 5-2). pp. 41-55
  2. 박문재, 정희석, 1987.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 평각재의 고운건조. 목재공학. 12(2): 53-66
  3. 박상범, 공영토, 조재명. 1988. 리기다소나무판재의 접착조건이 집성재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 목재공학. 16(4): 48-53
  4. 박상범, 공영토, 조재명. 1989. 리가다소나무 적층재의 제재조건에 따른 물리적성질 및 도장성능. 목재공학. 17(1): 3- 11
  5. 배재수, 이기봉. 2006 우리나라의 산림녹화 성공요인- 가정용 연료재의 대체와 대규모 조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6-17. p. 78
  6. 산상로, 여환명. 2004. 리기다소나무 원목형질 조사 및 구조용집성재 제조 수율 평가, 목재공학. 32(2): 90-95.
  7. 심상로, 여환명, 심국보. 2005. 이수종 구조용집성재의 전단접착력 및 접착내구성 평가. 목재공학. 33(1): 87-96
  8. 여환명, 심상로. 2004. 리기다소나무 고온건조. 목재공학. 32(4): 45-51
  9. 이전제, 김광모, 한재수, 김재건. 2003. 집성재 단면구성에 따른 휨성능 평가. 목재공학 31(5): 65- 71
  10. 이전제, 김광철.2000. 집성재의 강도적 성질 예측에 대한 핑거 조인트와 라미나의 강도의 영향. 목재공학. 28(1): 8-17
  11. 이춘택, 강대헌, 정두진, 이용대, 조재명. 1985.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간벌재의 1, 2 및 3면 제재이용. 목재공학 13(3): 41-48
  12. 한국표준협회. 2005. 구조용집성제. 한국산업규격 KSF3021.p. 29
  13.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 2005. Standard Practice for Establishing Allowable Properties for Structural Glued Laminated Timber (Glulam). ASTM D3737. pp. 463-490
  14. Hallstrom, S. and J. L. Grenestedt. 1997. Failure analysis of laminated timber beams reinforced with glass fibre composites.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1: 17-34 https://doi.org/10.1007/BF00705697
  15. Hernandez, R, J. F. Davalos, S. S. Sonti, Y. Kim, and R. C. Moody. 1997. Strength and Stiffness of Rainforced Yellow-Popular Glued-Laminated Beams. p. 28
  16. Lee, J.J., J. S. Park, K. M. Kim, and J. K. Oh. 2005. Prediction of bending properties for structural glulam using optimized distributions of knot characteristics and laminar MOE. Journal of Wood Science. 51: 640-647. https://doi.org/10.1007/s10086-005-07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