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Vehicle Resin on Coating Performance of Dan-Chung

교착제 종류에 따른 단청의 도막 성능

  • Received : 2006.12.14
  • Accepted : 2007.01.08
  • Published : 2007.01.25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vehicle resin on the coating performance of Dan-Chung. The starch glue (F), fish glue (G), and aqueous acrylic resin emulsion (E) were used as vehicle resins. Panels coated with Dan-Chung were tested at accelerated weathering and outdoor conditions. Aqueous acrylic resin was proved as an excellent vehicle resin for Dan-Chung, because there was no flaking in Dan-Chung film after accelerated weathering and outdoor exposure. Discoloration of Dan-Chung using E was the smallest among the acceleratedly weathered panels. Adhesive property of Dan-Chung film using G was. remarkably improved by G-undercoating. On the contrary, G-undercoating lowered adhesive property of Dan-Chung film using E.

교착제의 종류가 단청의 도막성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녹말풀과 아교, 그리고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촉진열화시험과 옥외폭로시험을 실시한 후 색상의 변화와 도막 박리 특성 및 도막부착력을 조사한 결과,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을 교착제로 사용한 단청은 촉진열화시험과 옥외폭로시험에서도 전혀 도막박리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이 매우 우수한 도막성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외선에 의한 단청의 색상변화는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을 교착제로 사용한 경우 가장 적었으며, 아교를 교착제로 사용한 경우 가장 컸다. 아교밑칠은 아교를 교착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단청 도막의 부착력을 크게 향상시키지만, 수성아크릴수지 에멀젼을 교착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도막부착력을 저하시켰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윤숙. 1992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색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사덕, 김순관, 홍정기, 강대일, 이명희. 1999. 양록단청 대체안료 개발 연구. 보존과학연구 20:122-137
  3. 김순관, 홍정기. 2000. 목조문화재 보존 및 단청에 이용하는 들기름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연구 21:274-292
  4. 송연호. 1984. 우리나라 단청문양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이선주. 2000. 단청을 주제로 한 도자 조형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