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the Prognosis of Gastric Cancer Patients at Both Extremes of Age

양극 연령층 위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예후

  • Song, Rack-Jong (Department of Surgery, Seo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un-Pil (Department of Surgery, Seo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in, Young-Don (Department of Surgery, Chosu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송락종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선필 (서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민영돈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Purpose: There have been several comparative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elderly group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However, new criteria are needed for this elderly group because of the longer life span of Korean people. The diagnosis of gastric cancer has sometimes been missed in the young age group. The perioperative risk is high in the elderly age group because of their combined diseas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the prognosis between young and elderly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and these patients were selected for making comparison between young and elderly groups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The young age group consisted of 31 patients who were aged 35 years old or less. The elderly age group was made up of 49 patients who were aged 75 years old or above. Results: For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the young age group was characterized by a high incidence of the poorly differentiated type of adenocarcinoma and the diffuse type too, according to the Lauren class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elderly group was characterized by a high incidence of poorly to moderate differentiated adenocarcinoma and also the intestinal type according to the Lauren classification. The other clinical differences were unremarkable. Additionally, there was no survival advantage in the young age group compared to the elderly group. Conclusion: There were no clinicopathologic and prognostic differences between both extreme age groups. So, active surgical treatment is recommended even for the elderly patients group.

목적: 약년자와 고령자에서 발생하는 위암의 차이점에 관한 연구는 이전부터 있어왔지만, 최근 한국인의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이에 따른 약년자 군과 고령자 군을 새롭게 분류해야할 필요가 제기되었다. 약년자에서 발생하는 위암은 진단 시 간파되기 쉽고, 고령자 위암의 경우 동반질환으로 인해 수술 전후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저자들은 약년자 군과 고령자 군에서 발생한 위암에서 각각의 임상병리학적 특성과 예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암 환자를 나이에 따라 35세 이하의 약년자 군 31명과 75세 이상의 고령자 군 49명으로 분류하고 성비, 발생위치, 조직학적 분류, 병기, 수술방법, 평균생존율 등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약년자 군에서 미분화 선암과 미만형의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고령자 군에서는 미분화와 중등도 분화 선암, 장형의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 외 두 군 간의 수술 방법의 차이나 술 후 합병증 및 수술 전후의 사망률 등의 의미있는 임상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두 군 간의 생존율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약령자와 고령자 두 군 간에 임상병리학적이나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두 군 간 수술방법과 근치도에서 차이가 없는 수술이 시도된 결과 고령자 군에서 약년자 군에 비해 생존율 저하를 보이지 많았다. 따라서 고령 환자에서 발생한 위암의 치료 시 보다 적극적 수술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