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식도암 및 하부인두암에서 근치적 전후두인두식도절제술 후 위를 이용한 재건술의 의의

Use of the Stomach as an Esophageal Substitute after Total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for Treating Cervical Esophageal Cancer or Hypopharyngeal Cancer

  • 이상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이상훈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외과) ;
  • 윤호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 김충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Lee, Sang-Hyuk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Surger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
  • Yoon, Ho-Young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Choong-Bai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7.12.31

초록

목적: 하부인두암 및 경부식도암 환자에서 근치적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시 위를 이용한 재건술 후 수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부터 2006년까지 하인두암 및 경부식도암에서 전인두후두식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재건술을 개흉술 없이, 경열공적으로 위를 이용하여 하인두위 문합술을 시행한 2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에 대해서는 신체검사소견과 수술 후 시행한 식도조영술의 결과에 따라 분류하였고, 퇴원 후 외래추적조사 시 환자의 증상 및 신체검사소견상 협착이나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서 시행한 흉부 X-선 검사, 식도내시경 및 식도조영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사망한 환자는 2예(8.8%)였으며, 4예(4.4%)에서 누출이 있었으나, 공장루를 통해 경장영양으로 해결되었으며, 협착은 없었다. 호흡기합병증은 폐렴 1예, 기흉 1예였다. 수술 후에 연하곤란은 없었으나, 2000년 이후 유분부성형술을 시행하지 않으므로, 일시적으로 정체증상을 호소한 환자가 1예 있었다. 결론: 하인두암이나 경부식도암에서 근치적 절제 후 위장관 재건술시 위를 이용하는 것은 충분한 길이를 얻을 수 있어, 원활한 혈액공급이 가능하여 조직괴사나 문합부 누출 및 협착 등의 합병증이 적으며, 술식의 시간이 빠르다. 또한 모든 문합이 경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문합부의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치료되어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ost operative outcome of reconstruction with using the stomach after performing total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in patients with hypopharyngeal cancer or cervical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23 patients who underwent gastric pull up for esophageal substitution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2006. All the patients had transhiatal esophagectomy performed without thoracotomy. Results: There were seventeen males and six females with a median age of 58.1 years (range: 40-70 years). 19 cases were hypopharyngeal cancer, 13 cases had cancer in the pyriform sinus, 15 cases had cancer in the postcricoid area and one case had cancer in the glottic area. The rest were cervical esophageal cancers. The pathologic result was squamous cell carcinoma in all cases. The median total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range: 1-62 months) and there were two (8.6%) postoperative deaths: one was due to carotid rupture and the other was due to hepatic failure with liver metastasis. The complications were leakage in 1 patient (4.4%), pneumothorax in 1 patient (4.4%) and pneumonia in 1 patient (4.4%). Conclusion: The use of stomach for esophageal reconstruction has many benefits for treating hypopharyngeal cancer or cervical esophageal cancer, So, we made sure there was a sufficient length for the anastomosis after pharyngolaryngoesophagectomy and a rich blood supply from the stomach. There was a low incidence of the leakage at the anastomotic site, along with a low incidence of stenosis and bleeding.

키워드